- 영문명
- Cross-Border E-Commerce Models and Global Logistics Strategies under a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헌수(Lee, Hunsoo) 김익성(Kim, Iksung) 허재원(Her, Jaewo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8권 제6호,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중·일 FTA의 국제 전자상거래 및 물류 산업에 대한 영향분석, 전자상거래 및 물류 측면에서의 FTA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둘째, 한·중·일 전자상거래 물량 흐름 분석을 통해 FTA 전략 및 물류체계의 개선이 필요한 분야와 한·중·일 전자상거래 협력 표적 산업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중·일 자유무역구 및 교류 거점시설 방문 조사, 주요 입주 및 이용 기업 설문 및 인터뷰 조사, SWOT 분석, 협력모델 도출, 한·중·일 협력방안 도출의 단계로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이 도출되었다. 넷째,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동북아 전자상거래 활성화 및 물류체계 개선 전략이 도출되었다.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로는, 상하이·장삼각-한-일 E-C 협력모델, 광저우·심천-한-일 E-C 협력모델, 이우·닝보-한-일 E-C 협력모델, 한·중·일 연계 C-B E-C 협력모델, 동아시아 C-B E-C 거점 연계 협력모델 등이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effect of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on cross-border e-commerce and logistics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And it identifies target industries for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s through analyzing e-commerce product flow on supply chain among 3 countries. Then it develops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 through a field study on Free Trade Zones and cross-border e-commerce hub facilities in 3 countrie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enants and users of such facilities, SWOT analysis and feasibility study. Based on such analyses, strategies to implement NE Asia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models and support FTA are develop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is study, policy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which are stakeholders of the cooperation model and activation strategy, and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distribution, manufacturing and logistics companies, are developed.
목차
I. 서 론
II. FTA 현황분석 및 선행연구
III. 전자상거래 및 한·중·일 FTA 관련 환경분석
IV. FTA 기반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 모델 및 활성화 전략
V. 결론 및 활성화 전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품사의 TBL 기반 지속가능경영이 브랜드 애착과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재능마켓의 현황과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 Crebugs
- 현지화된 제품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 남미 소비자의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상품 산업의 공정거래 환경 조성의 고용효과 분석
- 스마트공장 수준 측정의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개발을 위한 전남 지역 자생 식물 추출물의 활성 연구
-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차원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부 광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loaded: The Role of Affective and Cognitive Mechanism
-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에서 창의적 마인드셋 효과
- 이기적 vs. 이타적 동기요인이 기부의 효과성 기대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편의점 도시락 포장지의 색상이 제품의 건강 인식과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기술, 판매유통 라이센싱에 포함된 기업간 제휴의 역할
- 의인화 광고메시지 효과 차이
- 캐빈승무원의 개인역량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감정 관계에 고객 서비스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한·중·일 FTA를 활용한 동북아 전자상거래 및 물류 활성화 전략
-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rough Transgenerational Entrepreneurial Effort and Its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Outcome: the Case of Korean Micro Family Business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무적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리더십효능감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와 LMX질의 매개효과
- 리더의 타인지향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과 도덕면허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직위 중심 리더십 역량 모델을 활용한 신임 경찰관의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 Borich 모델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