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thyl-methane-sulfonate(EMS) 처리에 의한 춘란 잎 돌연변이 품종의 개발
이용수 14
- 영문명
- Development of Leaf Mutant Cultivars of Cymbidium goeringii by Ethyl-methane-sulfonate (EMS) Treatment.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신윤호 송인자 강은정 배태웅 선현진 강시용 임평옥 이효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4권 제1호, 17~2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돌연변이원인 EMS(ethyl-methane-sulfonate)를 이용하여 춘란 잎 돌연변이 품종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발아시킨 춘란 근경에 0.2%의 EMS를 처리함으로써 엽록소 결핍 돌연변이 근경을 유도하였다. EMS 처리시 50%이상의 춘란 근경이 갈변되었으며, 갈변된 근경을 근경증식용 고체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갈변된 근경의 일부 조직으로부터 새로운 측지근경의 생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근경조직을 절단하여 1년간 계대배양하던 중 관찰된 색소변이 근경을 식물체로 재분화시킨 결과 중투, 사피, 산반, 단엽종 등 다양한 잎 돌연변이 식물체들로 분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MS 처리에 의해 잎 돌연변이 식물체들이 효과적으로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춘란 잎 돌연변이 식물체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배양체계도 확립되어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잎 돌연변이 춘란은 향후 산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for developing leaf chlorophyll mutant cultivars of Cymbidium goeringii by ethyl-methane- sulfonate(EMS) treatment. Chlorophyll mutant rhizomes were easily produced by 0.2% EMS treatment in this genus. Among the mutants, they became dark brown about 50% of the rhizomes. When the dark-brown rhizomes were cultured in a solidified MS medium, new rhizomes were formed from part of the old ones. Chlorophyll mutant rhizomes were obtained from subcultured meristem tissues of newly-formed rhizomes. The rhizomes were cut and subcultured for a year and then became mutant plants. As the results, they produced 4 kinds of leaf mutant cultivars; zigzag-striped, comb-striped, net-striped, and dwarf types, indicating that the EMS treatment in the rhizome could produce versatile leaf chlorophyll regulating mut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method is useful for developing leaf mutant cultivars of this planta which they are estimated as higher commercial value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이용 형태별 벌개미취의 생육 및 중금속 흡수능
- 韓國産 가문비나무 自生集團의 毬果, 種子 및 發芽特性 變異
-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
- 질소 시비량과 추비 시기가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튤립(Liriodendron tulipifera) 나무가지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 인삼추출물의 랫트 비만세포 히스타민 유리 억제 효과
- 씀바귀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효과
- 식물유래 천연색소의 항산화 활성
- 국내 자생 자원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 제주산 참다래가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 물이끼 추출물의 식물화학적 성분 및 항암활성 연구
- 의령 지역의 식물상
- Ethyl-methane-sulfonate(EMS) 처리에 의한 춘란 잎 돌연변이 품종의 개발
-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