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Central Korea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이동철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8권 제2호, 175~18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 수식 이미지=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sim}pH5.8$ 수식 이미지.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sim}pH4.5$ 수식 이미지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sim}pH5.8$ 수식 이미지.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산 옻나무과의 지리적 천연분포와 종의 특징
- 작약 신품종 "의성작약" 의 주요특성 및 수량성
- 중부지방 자생 비목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 엽온 및 광강도에 따른 대두품종간의 광합성능력에 관한 연구
- 절화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에 관한 기초 연구
- 갯방풍의 Anthocyanin생성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 인삼잎의 생약학적 연구
- 건조조건에 따른 고추의 색도와 향기 성분의 변화
- 한국산 고등군류기 (X)
- 땅두릅의 여름철 연화재배 수량과 경제성
-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DC) 의 기내증식 - II. $NH_4NO_3, KNO_3$ 수식 이미지 Casein hydrolysate의 기내 부정배 발생효과 - ( In Vitro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DC. - II. Effect of NH4NO3 , KNO3 and Casein hydrolysate on Somatic Embryogenesis - )
- 백가수도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 두부종류와 여비방법에 따른 장마의 생육, 괴근수량 및 상품성과 이들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8권 제5호 목차
- 볼음도, 주문도, 아차도(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의 식물상
- 한련초(Eclipta prostrata)의 caspase-1 활성억제를 통한 비만세포 매개 알레르기 염증 억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