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가수도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Cyanachum wilfordii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최인식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8권 제2호, 209~2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적정(適正)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a당(當) 시비(施肥)는 웅비(施肥) 1,000kg, N-P-K=8-4-4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였다. 처리(處理)는 휴폭(畦幅)을 주구(주구)로, 주간(株間)을 세구(細區)로 하여, 휴폭(畦幅)은 40, 50, 60cm, 주간(株間)은 10, 15, 20cm로 하여 분류구배치(分劉區配置) 3반복(反復)으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5월(月) 25일(日)로 처리간(處理間)에 차이가 없이 균일(均一)하였다. 2. 위장(萎長)은 휴폭간(畦幅間)에서 40cm는 219cm, 50cm는 220cm, 60cm는 225cm 였으나, 주간(株間)에는 10cm에서 225cm, 15cm는 219cm, 20cm는 218cm로 주간(株間)이 좁을수록 길었으며, 엽수(葉數)는 양장(養長)과 같은 경향(傾向)으로, 주간(株間)이 좁으면 엽수(葉數)는 증가(增加)되었다. 3. 근장(根長)은 휴폭(畦幅) 40cm에서 24.5cm, 50cm는 24.6cm, 60cm는 24.2cm로 큰 차이가 없으나, 주간(株間) 10cm에서 23.5cm, 24.4cm, 20cm는 24.9cm로, 주간(株間)이 넓을수록 $0.9\sim1.4cm$ 수식 이미지가 길었으며, 근수(根數)는 $1.2\siml.4$ 수식 이미지 개(個)로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이가 없는 경향(傾向)이었다. 4, 10a당(當) 수양(收量)은 휴폭(畦幅) 40cm의 395kg/10a에 비(比)하여 50cm는 11%, 60cm는 4%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주간(株間) 10cm의 495kg/10a에 비(比)하여, 15cm는 17%, 20cm는 32%가 각각(各各) 감수(減收)되어,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재식밀도(栽植密度)는 휴폭(畦幅) 50cm, 주간(株間) l0cm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row width and hill space on growth and yield in cynanchum wilfordii on experimental fields of chungbuk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mergence date was May 25 and had no differences between planting density. Vine length was 219cm with row 40cm, 220cm, with 50cm and 225cm with 60cm, and in hill spaces, it was 225cm with hill space 10cm, 219cm with 15cm, and 218cm with 20cm. No. of leaves was same tendencies to vine length and was more increased as the hill space was narrower. Root length was longer about 0.9cm to 1.4cm as the hill space was wider, and no. of root had no difference between planting tensity. Yield was more increased row width was wider and was decreased hill space was wider. And the profitalble planting density was row width 50cm and hill space 10cm in the cultivation cynanchum wilfordii.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약 신품종 "의성작약" 의 주요특성 및 수량성
- 중부지방 자생 비목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 엽온 및 광강도에 따른 대두품종간의 광합성능력에 관한 연구
- 한국산 옻나무과의 지리적 천연분포와 종의 특징
- 절화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에 관한 기초 연구
- 인삼잎의 생약학적 연구
- 한국산 고등군류기 (X)
- 건조조건에 따른 고추의 색도와 향기 성분의 변화
- 갯방풍의 Anthocyanin생성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 땅두릅의 여름철 연화재배 수량과 경제성
-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DC) 의 기내증식 - II. $NH_4NO_3, KNO_3$ 수식 이미지 Casein hydrolysate의 기내 부정배 발생효과 - ( In Vitro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DC. - II. Effect of NH4NO3 , KNO3 and Casein hydrolysate on Somatic Embryogenesis - )
- 백가수도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 두부종류와 여비방법에 따른 장마의 생육, 괴근수량 및 상품성과 이들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