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내 애기송이풀 자생지역의 식생구조
이용수 16
- 영문명
-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변준기 천광일 오승환 이유미 장정원 주성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6권 제2호, 214~22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기송이풀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107∼494m 범위와 경사 5∼20°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및 관속식물 조사결과 6개 지역의 1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43분류군이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 내 초본층의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한 애기송이풀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13%로 나타났다. NMS 분석결과, 애기송이풀 자생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목본층의 종구성, 초본층의 종구성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더 지배적이라는 말할 수 있다. 이에 자생지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서식지 보전이 중요하며서식지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Pedicularis ishidoyan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and restoration. The altitude ranged from 107m to 494m, with inclinations of 5∼20°.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withinnatural populations, a total of 243 taxa were identified 18 quadrates in 6 natural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Pedicularis ishidoyana is 13.2% based on the coverage and frequency of the herb layer with in the populations. NMS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of Pedicularis ishidoyana a decisive impact on the habitat factors, the species compositionof the woody layer, rather than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herb layer can say is more dominant. Preservation of habitatconditions is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egnated aprotection area for habitats preservation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상북도 경주시 금곡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응봉산(강원, 영월)의 식물상
- ‘자랑’ 포도 생장점 배양으로부터 무병주 식물 대량번식에 미치는 배지 구성물질과 생장 조절제의 영향
- 농업유전자원은행의 식물유전자원 분양 활용에 대한 수요자 요구도 분석
- 기생식물 미국실새삼의 분포 및 기주식물상
- 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한국산 현삼속(현삼과)의 분류학적 연구
- 백령도 지역의 관속식물상
-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급여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두과작물 새싹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성 비교
- 울릉도 민속식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한국 특산식물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구조
-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생체외 항산화 활성
- 한국 내 애기송이풀 자생지역의 식생구조
-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ius) 성숙종자를 이용한 기내 식물체 재분화와 재분화체의 유전적 다양성
- 콜히친 침지처리에 의한 ‘망종화’의 4배체 식물유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