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실의 다변량에 의한 양적 형질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Mutivariate Analysis o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최갑림 현규환 신동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7권 제1호, 89~9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양적 형질을 중심으로 다변량 분석법에 의해 매실 품종들 간의 유전적 거리를 추정하고 이에 기초한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여 품종을 분류하였다. Mahalanobis’s distance (D)에 의하여 공시한 20개 품종을 5개 군으로 대별해 볼 수 있었는데, 제1군이 2품종, 제2군이 4품종, 제3군이 5품종, 제4군이 5품종, 제5군이 4품종으로 그룹을 형성하였다. 제1군과 제2군은 꽃잎 수와 암술 수가 많은 품종인 반면에 제3군과 제4군은 엽장과 엽폭은 높으나 꽃잎 수와 암술 수가 낮은 품종군이었다.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변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품종군 내, 품종 간의 D2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형질은 암술 수와 엽장 및 엽폭이었다.
영문 초록
Varietal distances were measured by Mahalanobis’s D 2 statistics in 190 possible comparisons among twenty varieties of Prunus mume with twelve characters such as seed weight, length, width, and diameter, fruit weight, and number of sepals, petals, pistils, and stigmas, and leaf length and width. A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Mahalanobis’s distance (D 2 ) was attempt. Twenty varieties of Prunus mum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ive subgroups. Group Ⅰ, Ⅱ, Ⅲ, Ⅳ and Ⅴ included two, four, five, five and four varieties, respectively. Most of the varietal group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ir geographical origins. Number of stigmas, and leaf length and width among the twelve characters were the largest contributors to the D 2 in both intra-and inter group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가수분해한 유채대로부터 유리당의 분리 및 이의 잔사로부터 펠릿의 제조
-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 저장온도와 박피방식에 따른 ‘축파’ 박피밤의 품질특성 변화
- 매실의 다변량에 의한 양적 형질 분석
- 수박(Citrullus lanatus (thunb.) Matsum. & Nakai) 자엽 절편의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 파종시기에 따른 유채(Brassica napus L.) 품종별 생육 및 개화특성
- 꽃치자나무 추출물의 HIV-1 효소 억제 활성과 QSAR에 의한 활성인자 예측
-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백출) 추출물의 급성 경구투여 독성 연구
-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 화장품 개발을 위한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녹색 꽃잎 도라지’의 기관분화에 미치는 배지조성 및 생 장조절제의 영향
- 비닐하우스 이용 태양초 생산시 산광 재료가 상품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재배종 마늘의 아미노산 조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