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주요 참나무류 종실의 탄닌 및 영양성분 비교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Tannins and Nutritional Components in the Acorn of Major Oak Tre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이위영 나성준 박응준 한상억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7권 제4호, 279~28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참나무류 종실에 대한 수종별 성분함량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 환경조건에서 생산된 채종원산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및 신갈나무 종실의 전체 페놀, 탄닌류, 아미노산,무기원소, 식이섬유소, 베타카로틴 등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탄닌의 함량은 수종간에 유의적 차이(p < 0.05)가 있었다. 졸참나무에서 79 ㎎/g으로 가장 높았고, 이외 수종은 62 ㎎/g 전후로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수용성 탄닌 함량은 졸참나무가 71 ㎎/g을, 이외의 수종은 45 ㎎/g 전후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용성 탄닌 함량은 졸참나무가 8.2 ㎎/g으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23.5 ㎎/g으로 가장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식이섬유소 함량은 신갈나무 종실이 42%로 가장 높았고 졸참나무 38%, 상수리 및 굴참나무가 26% 전후로, 특히 졸참나무와 상수리나무의 클론간의 식이섬유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두 수종간에 유의적 차이(p < 0.01)가 있었다. 무기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은 신갈나무 종실이 다른 수종에 비해 높게 함유하는 경향이었다. 반면 베타카로틴은 신갈나무가 10 ㎍/100 g으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가 520 ㎍/100 g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참나무 수종에 따른 도토리의 페놀성 화합물이나 영양성분의 함량은 수종 간에 차이가 있어 참나무 도토리의 종류에 따라 맛이나 영양학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Nutritional composition, including total phenolics, tannins and nutrient components, of acorns of Q. actissima, Q. serrat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were analyzed. Acorns were collected from each tree species, which were grown in a seed orchard. Contents of both total phenolics and tannins in acorns of Q. serrata were higher than those of Q. actissima (p < 0.05). Interestingly, Q. serrata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water soluble tannins (71 ㎎/g dw) and the lowest levels of water insoluble tannins (8.1 ㎎/g dw) among 4 oak species, resulting that acorns of Q. serrata had the lowest proportion of insoluble tannins. Among 4 oak species tested, Q. mongolicav acorns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both total dietary fiber (TDF) and ascorbic acid, while the content of beta-carotene in Q. mongolicav was 52-fold lower than that in Q. variabilis (520 ㎍/100 g). Our result showed that nutritional composition of acom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ak species, indicating that tastes or nutritional values might be different as well among major oak species in Kore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거꿀꽃토끼풀(콩과)
- 현사시나무에서 SENESCENCE 1 유전자의 분리와 발현특성 구명
- 한국의 주요 참나무류 종실의 탄닌 및 영양성분 비교
- 콩과식물 차풀, 비수리, 싸리 종자의 채종시기별 성숙도 및 발아특성
- 복분자 유래 성분 protocatechuic acid 투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생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토양 비소 오염원의 종류가 봉의꼬리의 생육 및 비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
- 식물 코팅 소재 선발법과 작물들에 대한 콩 오일의 증산 억제 효과
- 국내 자생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충남 내륙지역 민속식물의 전통지식
-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baicalin 및 baicalein 함량 분석
-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순무잎의 반응과 Glucosinolate 함량변화
- 종자저장방법 및 GA₃처리가 배풍등 종자 발아와 유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열무 생육을 통한 유황벤토나이트 혼합 비료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