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부시 블루베리 ‘블루크롭’의 결과지 세력이 신초와 과실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 of Vigor of a Bearing Shoot in ‘Bluecrop’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s and Fruit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권의석 이성희 신현만 남상영 오영재 김대일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9권 제5호, 598~60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결과지는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 및 무기성분과 엽에서 만들어진 동화산물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여 과실 품질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하이부시 블루베리 ‘Bluecrop’의 결과지 세력과신초생장 및 과실 특성과의 관계를 구명코자 수행되었다. 결과지 세력은 결과모지와 결과지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결과모지의 굵기가 6 ㎜ 미만이고 결과지 길이가 10 ㎝ 미만을 A, 결과모지의 굵기가 6 ㎜ 미만이고 결과지 길이가 10 ㎝ 이상을 B, 결과모지의 굵기가 6 ㎜ 이상이고 결과지 길이가 10 ㎝ 미만을 C, 그리고 결과모지의 굵기가 6 ㎜ 이상이고 결과지 길이가 10 ㎝ 이상을 D로 구분하였다. D의 신초는 길이 6.5 ㎝, 굵기 1.70 ㎜, 신초당 엽수 5.8 개로 다른 세력의 가지에서 자란 신초보다 길고굵었으며 신초당 엽수는 많았다. D의 엽면적은 13.5 ㎠로 다른가지보다 넓었다. 첫 수확기는 결과모지가 굵고 결과지가 길었던 가지에서 1주일 빨랐다. 14 ㎜ 이상의 대과의 비율은 결과지길이가 길었던 B와 D에서 각각 41.7%와 46.8%로 높았다. 14 ㎜ 미만의 소과의 평균 가용성 고형물은 결과지 세력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14 ㎜ 이상의 대과의 평균 가용성 고형물은 결과지 길이가 길었던 B와 D에서 각각 16.2 oBx, 15.6 oBx로 높았다. 결과지 및 결과모지와 결과지의 교차효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인정되었다. 14 ㎜ 미만인 과실의 평균 가용성 고형물은 14.5 oBx로 결과지 세력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결과모지가대과 생산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없으므로, 길이 10 ㎝ 이상의 결과지를 활용하여 착과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vigor of a bearing shoot in ‘Bluecrop’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s and fruits. Bearing shoots were classified with BS (bearing shoot) and BMB (bearing mother branch). The vigor of bearing shoots were divided into four arbitrary categories; A was thin (< 6.0 ㎜) BMB and short (< 10 ㎝) BS, B was thin BMB and long (≥ 10 ㎝) BS, C was thick (≥ 6 ㎜) BMB and short BS and D was thick BMB and long BS. Shoots from D were longer (6.5 ㎝) and thicker (1.70 ㎜) than those from the others. Shoots of D had more leaves (5.8 ea) than those of the others. Leaf area of D was larger (13.5 ㎠)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first harvest of D was one week faster than the others. Ratio of big berry (> 14 ㎜) from the long BSs was higher (B : 41.7, D : 46.8%) than that from the short BSs. Soluble solid content of small berrys did not show any different according to vigor of bearing shoots, but soluble solid content of big berrys of the long BSs was higher (B : 16.2, D : 15.6 o Bx) than those of the short BSs. The thickness of BMB did not affect ratio of fruit size and soluble soild content. The long BSs would be proper than the short BSs for bearing bigger fruit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지형 가습장치를 이용한 식물바이오필터의 토양수분 및식물 생육의 안정성
- 강화도 지역 3개 산지의 관속식물상
- 백수오, 우엉, 마 추출물 혼합비율에 따른 혈관부착인자 VCAM-1의 발현억제 효과
- 연한 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 ‘스카이블루볼’ 육성
- 작약 레드참 꽃잎의 이온화원-푸리에 변환 질량분석과 기능성 연구
- 고품질 내병 다수성 곰취 신품종 ‘곰마니’ 육성
- 국내자생식물 메탄올추출물의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효과
- 국내 재배지의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와초피(Zanthoxylum piperitum)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전적 다양성
-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종자의 휴면과 발아특성
- 한국산 피나무속(Tilia L.) 식물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 골담초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이후 지질 및 당질 대사 개선 효능
- 하이부시 블루베리 ‘블루크롭’의 결과지 세력이 신초와 과실 생장에 미치는 영향
- 초미세버블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 대추(Zyziphus jujuba)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당함량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