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채의 재식방법과 퇴비 시용량 차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Method and Amount of Applied Compost Powder on Yield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신동영(Dong Young Shin) 김상곤(Sang Kon Kim) 권병선(Byung Sun Kwon) 정동수(Dong Soo Jung) 임준택(June Taeg Lim) 현규환(Kyu Hwan Hyun) 국용인(Yong In Kuk)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2권 제1호, 37~4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답리작 유휴 농지에 바이오 디젤의 원료인 유채의 다수확 재배법을 구명코자 시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0${\times}$ 수식 이미지20 cm 조파는 종실수량이 298 kg/10a인데 비하여 50${\times}$ 수식 이미지15 cm 점파구에서는 1.000 kg/10a의 표준 퇴비 시용구가 361 kg/10a로서 21% 증수였고 1.500 kg/10a의 퇴비 50% 증비구에서는 422 kg/10a로서 42%가 증수였으며 50${\times}$ 수식 이미지30 cm의 이식구에서는 1.000 kg/10a의 표준 퇴비 시용구가 392 kg/10a로 32% 증수였고 1.500 kg/10a의 퇴비 50% 증비구에서는 455 kg/10a로서 53%가 증수되어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바이오디젤 원료인 수유량에서도 50${\times}$ 수식 이미지30 cm 이식, 50% 퇴비 증시구에서 200 kg/10a로서 56%가 증수되어 가장 수유량이 높았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compost powder, fertilizer level and planting method of high yielding F1 variety, Cheongpungyucha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 compositions of compost powder level and 3 different planting method at the experiment paddy field of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Cheongpungyuchae, rapeseed variety was grown under different compost powder level and planting method with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Yield components such as ear length, total branch, number of pods per ear and oil content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compost powder 1,500 kg/10a at level and planting method, Oct.30, transplanting with 50 ${\times}$ 수식 이미지 30 cm.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compost powder level and planting method of rapeseed seemed to be 1,500 kg/10a compost powder and transplanting method with 50 cm row spacing and 30 cm planting space.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채의 재식방법과 퇴비 시용량 차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 Priming 처리가 팥배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독도 귀화식물과 관리방안
- 백련 종류에 따른 연근 크기와 수확량
-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 경기도 중부지역의 식물상
- 제주도에 자생하는 피자식물의 항산화활성과 α-amylase 저해활성 검색
-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 일대의 자원식물상
- 피마자 수집종의 생육특성
- 차풀 종자로부터 Daucosterol과 Naphthalene glucoside의 분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8권 제3호 목차
- Immature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Ethanol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Kinase in 3T3-L1 Preadipocytes
- Shading Treatment-Induced Changes with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Delphinium maackianum Reg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