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벼의 이상적인 초형에 관여하는 QTL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QTL Analysis of Concerned on Ideal Plant Form in Rice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정일경 김경민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0권 제2호, 213~2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험은 청청과 낙동 조합을 약배양하여 육성한 120 계통을이용하여 이상적인 초형에 관련된 간장, 수장, 개체당 이삭수에대한 QTLs를 분석하고 탐색된 QTLs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모부본인 청청과 낙동의 간장의 평균은 75.3 ± 6.72 ㎝, 수장의 평균은 20.6 ± 2.08 ㎝이었으며 개체당 이삭수의 평균은 16.0 ± 2.37개로 나타났다. 120 계통의 CNDH의 간장의 평균은 71.6 ± 17.38 ㎝였으며, 수장의 평균은 20.3 ± 2.24 ㎝였으며 개체당 이삭수의 평균은 16.1 ± 7.17개로 나타났다. 이에대한 CNDH 계통의 빈도분포표의 곡선은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나타내었다. 간장, 수장, 개체당 이삭수 QTL 분석결과 간장에서 1번 염색체의 qPlL1-1, qPlL1-2, 5번 염색체의qPlL5, 수장에서 2번 염색체의 qPL2, 3번 염색체의 qPL3, 10번염색체의 qPL10, 개체당 이삭수에서 1번 염색체의 qPN1-1, qPN1-2, 9번 염색체의 qPN9이 탐색되었다. 간장에 대한 QTL에서 5번 염색체의 LOD 값은 3.81, 상가적 값은 5.49였으며, 수장에대한 QTL에서 2번 염색체의 LOD 값은 7.13, 상가적 값은 -2.58 이었으며, 3번 염색체의 LOD 값은 3.20, 상가적 값은 0.88로 나타났다. 개체당 이삭수에 대한 QTL에서 9번 염색체의 LOD 값은 4.27, 상가적 값은 -1.60으로 나타났다. 초형 관련 분석 결과에서 탐색된 9개 마커를 토대로 간장에 대한 RM5311, 수장에 대한 RM555, 개체당 이삭수에 대한 RM8111을 선발하여 모부본인청청, 낙동을 기준으로 자포니카형 22 품종, 인디카형 12 품종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4와 같이 청청과 낙동과 같은 밴드양상을 나타나거나 다른 크기상태의 밴드양상을 나타내었다. 간장, 수장, 개체당 이삭수의 일치율은 각각 44.11%, 41.17%, 44.11%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ice is the staple food of at least half of the world s population. Due to global warming, the weather is difficult to forecast nowa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eed various breeding to respond to such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TL about plant form, culm length, ear number and ear length by using 120 lines by anther culture, a cross between the Indica variety Cheongcheong and Japonica variety Nagdong. DNA marker was selected on the QTLs gen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CNDH (Cheongcheong Nagdong Doubled Haploid) lines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curves about culm length, ear number and ear length exhibited showed a continuous variation close to a normal distribution. QTL analysis result, on culm length qPlL1-1 and qPlL1-2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1 and qPlL5 was detected on the chromosome 5. However, on ear length qPL2, qPL3 and qPL10,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2, 3 and 10, while on ear number qPN1-1 and qPN1-2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1, qPN9 was detected on the chromosome 9. The QTLs related to culm length was found to chromosomes 5 and LOD scores were 3.81. The QTLs related to ear length was found to chromosomes 2 and 3 LOD scores were 7.13 and 3.20. The QTLs related to ear number was found to chromosome 9 and LOD scores were 4.27. Twenty two (22) Japonica cultivars and 12 Indica cultivars were analyzed polymorphisms, using selected 9 markers from the result about plant form analysis. RM5311, RM555 and RM8111 about the culm length, the ear length and number of ear were selected on the standard of Cheongcheong and Nagdong. Each rate of concordances about the culm length, the ear length and number of ear are 44.11%, 41.17% and 44.11%.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민속식물, 화학성분, 약리작용에 대한 종합적 고찰
-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의 항염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 차나무 자생개체군의 식물사회와 분포 특이성
- DMZ 접경지역 인근 사명산(양구군, 강원도) 일대의 식물상
- 내분비교란물질 비스페놀 A를 처리한 마우스에서홍삼 추출물의 간 섬유화 개선
-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와 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혼합식재 비율
- 와송(Orostachys japonicus)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암세포 독성 비교
-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가야산국립공원 기후변화취약종의 분포 및 보전방안
- 벼의 이상적인 초형에 관여하는 QTL 분석
- 물리적 처리조건 변화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유래 안토시아닌 함량변화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