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을 저해하는 쉽싸리 성분의 분리
이용수 2
- 영문명
- Isolation of the Constituent Inhibiting Nitric Oxide formation from Lycopus lucidus in LPS-induced Macrophage Cell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박희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2권 제4호, 264~26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쉽싸리(L. lucidus)가 가지는 효능의 하나로 알려진 항염증효과의 활성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염효과는 LPS로 활성화한 macrophage 264.7이 생산하는 NO 의 감소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쉽싸리 추출물에서얻은 비극성 분획물인 CHCl3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NO 생산을 감소시켰다. 이에 비해 극성 분획물인 BuOH 분획물은 그 효과가 약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의해 이 CHCl3 분획물로부터 주요 화합물인 ursolic acid를 분리하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효과가 약하였던BuOH 분획물로부터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와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이 분획의 주요 화합물인 rosmarinic acid를 분리하고 역시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Ursolic acid는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억제하였으나 rosmarinic acid는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쉽싸리의 항염효과는 주로 ursolic acid 의 존재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constituent from the herb of Lycorus lucidus (Lamiaceae). The MeOH extract of this plant material and its two fractions, the lipophilic- (CHCl3 fraction) and the hydrophilic fraction (BuOH fraction), were prepared to t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this purpose, the inhibition rat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ctivity was assessed by determining nitric oxide (NO) forma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macrophage 264.7 cells. The CHCl3 fraction that greatly inhibited nitric NO formation was chromatographed to lead the isolation of ursolic acid. Since ursolic acid inhibited NO formation dose dependently in this study, this compound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active constituent responsible for anti-inflammation. However, the activity of rosmarinic acid isolated from the BuOH fraction was weak.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체 방광암 T24 세포에서 감초(Glycyrrhizae radix) 열수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 Inhibitory Effects of Pine Cone (Pinus densiflora)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추대 참당귀의 이용가능성 평가
-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을 저해하는 쉽싸리 성분의 분리
- 면봉산 일대 산림식생의 지형과 고도에 따른 생태적 지위 및 지표종에 관한 연구
-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
- 포장조건에서 주요 배 유전자원과 종간교배 집단의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 서부 DMZ 인근접경 지역의 파평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 고랭지 경사밭 아로니아 재배시 적정 피복식물 선발
- 단풍취 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Peroxynitrite 소거에 대한 활성과 Caffeoylquinic Acid 성분의 분석
- 보존용액 처리가 신 관상식물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
- 복숭아 유전자원의 적색 과육 판별 SNP 분자표지 개발
- 익모초 물 추출물의 위염 예방효과 및 소핵시험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
- 진퍼리고사리의 전엽체 및 포자체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 조성과 배양토의 종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