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의 공연 관람 경험의 탐색

이용수  747

영문명
What It Means to Be Performing Arts Audiences: Exploring Communicative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양소은(Yang, Soeun) 고예나(Ko, Yena) 이중식(Lee, Joongseek) 김은미(Kim, Eun-me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56집, 145~18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소비에서 개인의 경험을 질적으로 살필 필요성을 제기하는 경험 중심의 관점에서 출발한다. 특히, 오프라인 기반 사회적 관계 뿐 아니라 온라인 기반의정보 탐색 및 교류 행동을 공연 경험으로 연계시켜 공연 경험의 여정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명을 연구 단위로 설정하여 15팀(3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특히, 공연 여정을 포착하기 위하여 공연 전과 후 2회의 인터뷰를 하고 모바일앱 기반 자기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경험을 증폭시키고 취향을 공고화하는데 소셜플랫폼 기반의 미디어와 그 안에서의교류가 공연전후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연동반자의 가치 및 취향 리더와 팔로워 관계를 발견함에 따라 공연 관람에서의 관계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발견마다 열성 관객, 관심 관객 및 무관심 관객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공연 경험을 공연 그 자체에만 국한된 것이아니라 그 전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포괄하여 이해해야 하며, 개인 혼자의 경험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공연 관람이라는 소비가 발생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an experience-oriented perspective that raises the need to examine the individual’s cultural consumption experience with qualitative approach.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depth the journey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by connecting with offline-based social relationships as well as online-based informativ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teams (30 people) by setting up two people as research units, and self-recorded data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were collected. Results showed that social media and online communi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in amplifying the performance experience and the consumer’s taste developmen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relational aspects of the performance experience by ident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rtners and the existence of the cultural taste leader. For each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audience proficiency: enthusiastic, interested, and indifferent aud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experienc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erformance itself, but should be understood in a comprehensive manner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and that the consumption of the performance takes place in a social relationship, not in an individual’s own experience onl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소은(Yang, Soeun),고예나(Ko, Yena),이중식(Lee, Joongseek),김은미(Kim, Eun-mee). (2020).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의 공연 관람 경험의 탐색. 예술경영연구, 56 (1), 145-188

MLA

양소은(Yang, Soeun),고예나(Ko, Yena),이중식(Lee, Joongseek),김은미(Kim, Eun-mee).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의 공연 관람 경험의 탐색." 예술경영연구, 56.1(2020): 145-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