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

이용수  828

영문명
Youth Audience Development in the Non-face-to-Face Era: An Action Research of National Theater Company’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정용성(Jung, Yong Sung) 장웅조(Chang, WoongJo)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56집, 217~2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 사태로 문화예술분야 전체가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관객개발 영역도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에서 제작한청소년극 <영지>를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과 참여문화 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현장의 실천과 탐구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변화를모색해 나가는 실행연구를 채택하고, Brown & Novak-Leonard(2011)의 단계별 예술참여 모델과 Koste(1995)의 연극놀이 순환체 개념, 그리고 Moore(1993)의 교류거리이론을 바탕으로 국립극단의 예술교육이 어떻게 관객개발과 연계되어 운영되는지 분석하여 실제적인 관객참여 활동을 추동하는 적극적인 관객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시대에도 열린 구조와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연극놀이를 활용하여 청소년 관객을 ‘공동창조’와 ‘예술가로서의 관객’ 의 단계까지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객개발이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t a moment in which the entire culture and arts field is in crisi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audience development strategies practiced by arts organizations require significant adapta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theater for young audiences, Youngji, produced by the TYA(Theater for Young Audiences) Research Center(TYARC)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NTCK). We examine how an arts organization develops youth audiences and creates a participatory culture when normal non-face-to-face engagement is not possible. We applied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o our research filed, which allowed us to track continuous change based on the evolving practices and contingencies of one arts sector organization. Using Brown and Novak-Leonard’s (2011) audience involvement spectrum, Koste’s (1995) concept of creative drama, and Moore’s (1993) transactional distance theory,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ctive audienc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NTCK’s arts education has adapted its approach to audience development. We find that, even in this non-face-to-face er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velop youth audiences through a dramatic play that continues from play to drama.

목차

I. 서 론
II. 문헌연구
III. 연구설계
IV. 분석 및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용성(Jung, Yong Sung),장웅조(Chang, WoongJo). (2020).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 예술경영연구, 56 (1), 217-242

MLA

정용성(Jung, Yong Sung),장웅조(Chang, WoongJo). "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 예술경영연구, 56.1(2020): 217-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