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reeding of a Rice Variety, ‘Sangbo’, with High Head Rice Grain Ratio and Good Ripened Grain Color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박노봉(No-Bong Park) 여운상(Un-Sang Yeo) 이지윤(Ji-Yoon Lee) 박동수(Dong-Soo Park) 이종희(Jong-Hee Lee) 조준현(Jun-Hyun Cho) 송유천(You-Chun Song) 오성환(Seong-Hwan Oh) 손영보(Young-Bo Son) 장재기(Jae-Ki Ch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2 No.4, 441~44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angbo’ is a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variety with high head rice grain ratio and good ripened grain color, as well as resistance to rice dwarf virus (RDV) and bacterial blight disease (BB). It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the Yeongdeok Branch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Korea, in 2015. This variety was derived in the 2002 summer season from a cross between ‘Yeongdeog32’, with high eating quality, and ‘Nampyeong’, with a high milling ratio. In 2012, a promising line, YR24256-142-5-3-1-1-2, selected by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was designated the name, ‘Yeongdeog59’. After performing a local adaptability test at nine locations from 2013 to 2015, ‘Yeongdeog59’ was released with the name ‘Sangbo’ in 2015. ‘Sangbo’ has a culm length of 77 cm and a medium-late growth duration. This variety was resistant to K1, K2, and K3 races of bacterial blight, along with the dwarf virus, and wa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disease. Based on the results of a panel test, ‘Sangbo’ has translucent and clear milled rice kernel without white core and belly rice, and good eating quality. The yield potential of ‘Sangbo’ in milled rice was approximately 6.21 MT/ha at the ordinary fertilizer level of the local adaptability test (LAT). This cultivar would be adaptable to the middle plain, south plain, Yeongnam plain, east coastal area, and south mid-mountainous areas of Korea (Registration No. 7284, 2018.06.25).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염색체 도식화와 imputation에 의한 GBS 기반 여교잡 회복률 계산 정확도 증진 방법
- 종실이 크면서도 쓰러짐과 탈립에 강한 검정콩 ‘태청’
- 색소찰옥수수 근동질 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연구
- 콩 소청2호의 균주 특이적인 역병 저항성 유전자좌
- 한국 대표 밀 품종의 미숙배 채취 시기별 조직배양 효율
-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고 식미가 우수한 찰옥수수 ‘황금맛찰’
- 국산 빵용 밀 품종의 사워도우빵 특성 평가
- 93-11 × 밀양352 약배양 집단을 이용한 벼 출수기 QTL분석
- 풋옥수수와 취반용 옥수수쌀에 적합한 검정 찰옥수수 ‘장수흑찰’
- 국내 밀 품종의 종실 크기 관련 유전자 변이 평가
- 배추 완전장 유전자 과발현 애기장대 형질전환체 활용 내염성 유전자 선발 및 유채 형질전환
- 콩에서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유전분석
- 담적색 종피색의 다수성 신품종 팥 ‘해오롬’ 육성
- 완전미율이 높고 숙색이 좋은 벼 ‘상보(上寶)’
- 논 재배에 적합하고 맥주용 품질이 우수한 맥주보리 신품종 ‘다품’
- 사과 저장성 연관 Md-ACS1, Md-ACO1, Md-PG1 분자표지의 활용성 평가
- 통일형 쌀가루 전용품종 ‘신길 (밀양317호)’
- 춘파 적응성 내도복 다수성 겉보리‘호향’
- 식물의 엽록소 생합성 및 조절 기작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
- 다수성 종간교잡 감초 신품종 ‘원감’
- 휴면기간이 짧고 역병에 강한 황색 감자 신품종 ‘강선’
- 끝순 채소용 고구마 우수 품종 선발
- 운광벼 유전배경의 복합내병성 조생 벼 ‘아이에스592비비’
- LMO격리포장에서 비타민A강화콩 재배가 곤충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 중·만생종 고품질 완전단감 ‘감풍’ 육성
- 국내 육성 벼 품종의 출수일수 및 간장 변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