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lack Waxy Hybrid Corn, ‘Jangsuheukchal’ Suitable as a Fresh Waxy Corn with Cooking Properties of a Milled Waxy Corn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이종형(Jong-Hyeong Lee) 한영희(Yong-Hee Han) 최병열(Byeong-Yeoll Choi) 장정희(Jung-Hee Jang) 박인태(In-Tae Park) 지정현(Jung Hyeun Ji) 박중수(Jung-Soo Park) 도현용(Hyeun-Yong Do) 한상욱(Sang-Wook Han) 이명훈(Myoung-H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2 No.4, 495~50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angsuheukchal’ waxy corn was developed through single-cross by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2012. The seed parent inbred ‘GMB0016’ was crossed with the pollen parent inbred ‘GMB0017’ in 2010. ‘Jangsuheukchal’ took 72 days tosilking, which was 4 days sooner than ‘Miheukchal’, and ‘Jangsuheukchal’ was 195 cm in height, which was 12 cm less than that of ‘Miheukchal’;the occurrence of lodging was low in the new species. Among the ear characteristics, the kernel setting rate was very high (99%), and thegrain pericarp thickness was slightly more than that of ‘Miheukchal’, but the sensory evaluation was positive because of the high amylopectincontent and the fine ear appearance.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in four areas for two years in 2011-2012, and the density offresh ears for ‘Jangsuheukchal’ was determined as 62,280 ears/ha, which was 6% higher than that of ‘Miheukchal’, but the weight of thefresh ears was 9,178 kg/ha, which was 17% lighter than its counterpart. In order to diversify the use of fresh waxy corn, the cooking propertiesof milled waxy corn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Mibaek2’, which was the main cultivar in Gyeonggido province in 2018. The grainyield per ha of ‘Jangsuheukchal’ was 5,600 kg, which was 12% less than that of ‘Mibaek2’, but after harvesting fresh ears, the grain yieldper ha was 1,060 kg, which was 10.6 times more than the known cultivar. In addition, compared to ‘Mibaek2’, ‘Jangsuheukchal’ showedexcellent processing characteristics in the cooking properties for milled kernels because of its light 100-seed weight, low protein content,and high starch content. Therefore, we report ‘Jangsuheukchal’ as a new variety, suitable for use as a fresh corn and possessing the cookingproperties of milled kernels (Registration No. 6065).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염색체 도식화와 imputation에 의한 GBS 기반 여교잡 회복률 계산 정확도 증진 방법
- 종실이 크면서도 쓰러짐과 탈립에 강한 검정콩 ‘태청’
- 색소찰옥수수 근동질 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연구
- 콩 소청2호의 균주 특이적인 역병 저항성 유전자좌
- 한국 대표 밀 품종의 미숙배 채취 시기별 조직배양 효율
-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고 식미가 우수한 찰옥수수 ‘황금맛찰’
- 국산 빵용 밀 품종의 사워도우빵 특성 평가
- 93-11 × 밀양352 약배양 집단을 이용한 벼 출수기 QTL분석
- 풋옥수수와 취반용 옥수수쌀에 적합한 검정 찰옥수수 ‘장수흑찰’
- 국내 밀 품종의 종실 크기 관련 유전자 변이 평가
- 배추 완전장 유전자 과발현 애기장대 형질전환체 활용 내염성 유전자 선발 및 유채 형질전환
- 콩에서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유전분석
- 담적색 종피색의 다수성 신품종 팥 ‘해오롬’ 육성
- 완전미율이 높고 숙색이 좋은 벼 ‘상보(上寶)’
- 논 재배에 적합하고 맥주용 품질이 우수한 맥주보리 신품종 ‘다품’
- 사과 저장성 연관 Md-ACS1, Md-ACO1, Md-PG1 분자표지의 활용성 평가
- 통일형 쌀가루 전용품종 ‘신길 (밀양317호)’
- 춘파 적응성 내도복 다수성 겉보리‘호향’
- 식물의 엽록소 생합성 및 조절 기작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
- 다수성 종간교잡 감초 신품종 ‘원감’
- 휴면기간이 짧고 역병에 강한 황색 감자 신품종 ‘강선’
- 끝순 채소용 고구마 우수 품종 선발
- 운광벼 유전배경의 복합내병성 조생 벼 ‘아이에스592비비’
- LMO격리포장에서 비타민A강화콩 재배가 곤충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 중·만생종 고품질 완전단감 ‘감풍’ 육성
- 국내 육성 벼 품종의 출수일수 및 간장 변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