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농폐비닐 소각 유래 가스상 오염물질 방출량의 시계열 분석 연구
이용수 107
- 영문명
- The Study of Time Series Analysis on the Emission of Gas-Phase Pollution from Incineration of Agricultural Waste Vinyl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김태한(Tae Han Kim) 최부헌(Boo Hun Choi) 최인규(Inkyu Choi)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2020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40~240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19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월경성 미세먼지(PM10, PM2.5, 황사)의 발생시기가 국내 농번기와 중복되면서 일반 농경업자의 건강 및 환경의 공기질 문제가 확산되고 있다. 2017년 기준 국가 미세먼지 측정망 264개 중 42.8%가 수도권에만 편중되고, 전라, 충청, 강원, 경상 등 농촌지역은 제외되어 현실적인 미세먼지 총량 측정이 불가능하여 농촌지역의 미세먼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도심보다 미세먼지 대응에 열악한 농업환경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농업활동과 연계된 미세먼지 1차 배출 및 2차 생성 유발원 구명 및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농업종사자, 농산물의 피해와 농산물 섭취로 인한 인체 유해성 정보를 기반으로 농업관점의 건전한 생산 환경조성 및 국민 건강 안전성 확보를 위해 체계적인 미세먼지 정책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닐 소각 후 30분간 최대 온도는 멀칭용LDPE(323.5℃), 하우스LDPE(313.6℃), HDPE(275.5)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풍속은 하우스LDPE(3.4m/s), 멀칭용LDPE(2.5m/s), HDPE(2.0m/s) 순으로 나타났다. CO의 경우, 최대농도는 하우스LDPE(7.6ppm), HDPE(6.6ppm), 멀칭용LDPE(6.4ppm)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NOx의 경우 최대농도는 멀칭용LDPE(26,950.0ppm), 하우스LDPE(19,602.0ppm), HDPE(885.0ppm)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SO2의 경우 하우스LDPE(4396.0ppm), 멀칭용LDPE(7782.0ppm), HDPE(39.0ppm)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으로 LDPE 종류의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HDPE의 오염물질 농도는 낮게 측정이 되었다. 평균 오염물질 배출량은 NOx를 제외하고 멀칭용 LDPE, 하우스용 LDPE 순서로 많이 집계되었다. 반면, HDPE는 타 영농폐비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NOx가 측정된 반면, 이외의 오염물질은 적게 배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도 내 가스 온도와 풍속이 낮아 전반적인 농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 도시텃밭 조성을 위한 동반식물 활용 및 모델 연구
- 공기 오염물질 톨루엔의 미세먼지로 전환과 식물에 의한 저감 분석
- 농촌교육농장의 활성화를 위한 선호모델 연구
- 치유자원 활용 자기 주도적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농업인 직업체험이 자립생활관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농업 문해와 손 재능에 미치는 영향
- 영농폐비닐 소각 유래 가스상 오염물질 방출량의 시계열 분석 연구
- 정원활동-책만들기 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인의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 프리지아 기내 대량생산시 기형화 발생 방지를 위한 증식 가능 기간
- 소방공무원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타액 코르티솔 농도 및 식물재배경험 수준의 변화
- Diniconazol 처리가 메리골드의 내염성에 미치는 영향
- 아름다운 자연이 숨쉬는곳, 포레도(foredo)
- 14주 산림걷기 운동요법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압, BMI, 혈당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살예방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우울감 감소 및 능동적 대처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식물에 대한 호기심에 주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향 선호도 경향 분석
- 치유농업 현황과 R&D
-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biodegradation of quinalphos by Bacillus thuringiensis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 원예교육의 구성 요소 개발
- DACUM 기법을 통한 복지원예사의 직무분석
- Biodegradation of Quinalphos by a Soil Bacterium-Bacillus subtilis
- 실내정원 식물 9종의 미세먼지 저감능
-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염분 스트레스가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L.)의 성장과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Chitosan oligosaccharide와 brassinosteroids의 영향
-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병원 의료진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종합심사낙찰제에서 공사수행능력 심사 분야 실효성 확보방안
- 택지개발사업의 개발밀도 변화에 관한 연구
- 국내 국⋅공립수목원 운영현황 조사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치유농업 서비스 사업장 운영을 위한 투입 현황 조사
- 치유농장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혁신도시 입지특성에 따른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도 분석
- 고령자의 여가활동을 위한 계절별 실내텃밭 모델 제안
- 농업체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
- 반려식물이 농촌노인의 우울증,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치유농업이 COVID-19 취약계층의 트라우마 극복에 미치는 정서적 효과
- 하늘(上)과 땅(下)이 만나는 곳
- NaCl 처리에 따른 번행초의 생육과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
- 치유농장 창업 및 사례
- 산림치유 프로그램 표준화를 위한 NIH 모델의 적용
- 코로나 시대 실내 원예체험활동용 허브식물에 대한 선호도조사
-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텃밭정원 중심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 상록활엽수 7수종의 미세먼지 흡착량 및 잎 미세구조 분석
-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원과 치유에 대한 대중의 인식 동향 분석
- 국내 사립수목원 운영현황 조사
- 녹차엽 분말 및 유기성 비료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철 추출방법
- 원예치료가 너싱홈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내산과 중국산 절화 국화 ‘백선’의 품질비교
- 대규모 공공사업과 연계한 과천 화훼산업 발전 방안
- 가로유형별 벚나무 가로수 실태조사를 통한 조성 환경 평가
- 시비처리가 컨테이너 재배 왕벚나무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컨테이너 용적이 왕벚나무 생장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2020년 (사)인간식물환경학회 임시총회 및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 퍼머컬쳐 구성기법을 적용한 텃밭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 산림치유 현황과 방향
- 연구윤리
-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도시농업공원 조성 및 운영 방안 제안
- 몇 가지 관목류의 정원용 소재 규격화를 위한 영양번식 방법
- 러시아 조선해양산업 문화 현황 분석 및 대응 방안
- 온라인 가정 원예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돌봄인식,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및 원예지식에 미치는 영향
- 건설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분별해체 제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원예치료가 예비노인의 자기효능감과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아파트 텃밭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공동체 의식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반려식물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LID 시스템을 활용한 아파트 화단의 관수량 별 식물생육 차이분석
- 원예활동이 어린이집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원예치료가 코로나19로 인한 전업주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마을정원 만들기 참여자 인식조사
- 젊은 과학자 네 꿈을 펼쳐라
- 농촌 융복합산업 실천사례
- 인사말
- 인사말
- 농산어촌마을의 도농교류사업 동향분석
- 플라워테라피가 대학생의 전두엽 뇌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도시텃밭 내 잡초방제를 위한 동반식물과 피복재료의 활용
- 식생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성능기준에 관한 연구
- 실내원예와 테라리움 인식과 선호도
- 정원치유 해외 우수사례 분석
- 정원활동 으로 부터 영감을 얻은 클래식 음악 기초조사
- 조경 식물 잎의 왁스층 함량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율 분석
- 절화국화 ‘신마’ 스마트팜과 관행농가의 재배환경과 생육 비교 및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생육 예측 모델 개발
- 치유농업 통계지표 개발을 위한 치유농업 서비스 사업장 운영 현황 조사
- 허브식물을 활용한 치유농업 콘텐츠에 따른 은퇴 예정자의 스트레스 및 혈압의 변화
- 중년기 여성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원예선호도
- 국내⋅외 산림치유 프로그램 현황분석
- 실내식물의 개화특성이 미세먼지 저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PRICING OPTIONS ON VOLATILITY OF VOLATILITY MODEL BASED ON HESTON’S STOCHASTIC VOLATILITY WITH CREDIT RISK
- SPECTRUM OF LINE ARRANGEMENTS WITH MULTIPLICITIES: A COMBINATORIAL APPROACH VIA LATTICE POINT ENUMERATION
- CONTINUITY OF INTERTWINING LINEAR OPERATORS WITH SHIFT OPERATORS ON Lp(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