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병란의 초기 시세계 연구
이용수 160
- 영문명
- Moon Byung-Ran’s Early Poetry of the World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동순(Lee Dong Soo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2호, 565~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병란의 초기 시세계를 밝히고자 한 이 논문은 4권의 시집과 두 권의 산문집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문병란 유신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일관하였던 시인으로 조선대학교 재학 중인 1959년에 김현승의 추천을 받아 등단하였는데 그의 시는 역사와 분리하여 논할 수 없는 작품들이다. 여기서는 크게 시대에 의식적으로 도전했던 민중시와 농촌현실을 사실적으로 고발한 농민시로 대별하여 살펴보았다. 문병란의 초기 시세계는 쉬운 언어로 민중들과 농민들의 강인성을 형상화 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것은 등단 초기부터 시인으로서 지키고자 했던 양심에 기인한 것이며, 또한 시인이란 어떤 존재인가의 물음에 대한 응답이기도 했다. 그에 따라 그는 민중들의 삶에 천착하여 농민들의 피폐한 삶을 형상화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oetry from Moon Byung-ran’s first collection, 『Moon Byung-ran’s poetry』, to the fourth, 『Whispers of ric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icism of poems and the poetry system in the 『History of kerosene lamp』 and criticism of poems 『Crazy blue sky』. They were chosen because they are early poems by Moon Byung-ran and distinct from the poetry system written after the Gwangju uprising in 1980. It is because analysis of the criticism of poems which he asserted in his early work, containing resistance to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is needed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the criticism of poems and the poetry system.
Moon Byung-ran, a poet, debuted by receiving his recommendation from Kim Hyun-seung in 1959 while studying at the Chosun University and, except for a few poems from his formative years, cannot be easily removed from the history of poetry itself.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lives of the people and the perseverance of the peasants have been symbolized through the easy language represented as the people’s poetry that challenged the times and the peasant poetry, the most beautiful challenge of life. It also revealed that, from the earliest days of his debut, he tried to defend his conscience as a poet, which led him to write about the poor lives of peasants.
목차
1. 서론
2. 초극으로써 민중현실의 형상화
3. 정당성으로써 농촌현실의 형상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병란의 초기 시세계 연구
- 대학 신입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글쓰기 교육
- 우계와 구봉의 도학적 성향의 시에 나타난 미학
- 대학 글쓰기에서 서평 쓰기 수업 사례와 특질
- 인터넷 쓰기 과정에서 작용하는 실제 독자의 활동과 심리 분석
- 비판적 다시 쓰기를 통한 젠더 글쓰기 수업 방안
- 서강대학교 글쓰기센터의 운영 현황과 과제
- 데이터 사회 작문교육의 인문학적 탐색
- <전공 연계 글쓰기> 시행과 그 평가
- 중학생들의 서사문 쓰기 양상 연구
- 토론문 쓰기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 토론 수업 연구
- 겹쳐 읽기를 활용한 대학 독서교육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의 평가 공정성을 위한 평가 도구 설계 방안
- 중년여성의 불행감과 연극 대본 연습을 통한 치유
- 상호관계적 피드백을 활용한 문제해결형 글쓰기 교수설계 모형 및 사례 연구
- 장덕조 소설의 <젠더의식> 고찰
- 초정 조의현의 법성포 연구
- 한국어교육 분야 국문초록의 이동마디 구성 분석
- 신동엽 시인의 라디오 대본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