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 방안
이용수 16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subjective Assessment Linked to College Writ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윤빈(Lee Yun-bi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21호, 11~4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적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 방안을 구성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한 사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때 상호주관적 평가란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는 현장인 교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평가 목적·평가 주체·평가 준거에 대해 합의하고, 이에 근거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 글쓰기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는 ⑴ 상호주관성 형성하기, ⑵ 장르별 교수 학습 및 평가하기, ⑶ 집단별 교수 학습 및 평가하기, ⑷ 한 학기 수행 성찰하기의 네 단계로 진행된다. 이 평가는 타당도 추구의 맥락을 교실 공동체로 한정하고, 교육 및 평가 목적에 따른 장르별 평가 준거를 구성함으로써 평가 타당도를 확보했다. 또한 교수자와 평가자가 평가 준거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함께 평가에 참여함으로써 평가 신뢰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교수 학습과 평가를 연계함으로써 평가 및 피드백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construct alternative method of assessment which increases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college writing assessment.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inter-subjective assessment method associated with the college writing instruction and review the cases used in the actual classroom. A inter-subjective assessment means that members of the class community agree on the purpose of assessment, the subject of assessment, and the criteria of assessment. This assessment proceeds to the next four steps: Building inter-subjectivity, Instructing and assessing by genre, Instructing and assessing by group, Reflecting on performance of the semester. This assessment assessed the criteri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and not only professors but also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Also, this assesment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struction. By doing so, this assessment increased its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목차
1. 서론
2. 대학 글쓰기 평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대학 글쓰기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