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이용수 160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 on Teachers’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혜선(Paik Hye S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6호, 329~3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 목표의 변화에 따라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이 바뀐다. 수업 실천은 교실 상황과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교사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교사 신념을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읽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ERIC에 등록된 최근 20년간의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 관련 논문을 찾아 기초 정보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의 연구는 (1)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의 양상, (2) 교사 신념이 읽기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 (3) 교사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은 다양한 국가에서, 읽기 자료, 교육 방법 등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철자나 어휘 지도 같은 읽기의 세분화된 영역에서 교사 신념 양상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교사 신념과 수업 실천의 연관성을 대부분 인정하고 있으며, 교사 신념과 실행이 불일치하는 것은 신념의 가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신념이 변하는 증거라 볼 수 있다. 기존의 일치 여부에 초점을 두는 연구에서 벗어나 불일치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신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 신념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사 교육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eachers’ classroom roles change to keep pace with changing educational goals. Analyses of classroom situations and learner needs influence teachers’ beliefs, which, in turn,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that guide instruct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teacher beliefs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regarding teacher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Teacher beliefs represent teachers’ implicit assumptions about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classrooms, and subjects. The study of teachers’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1) the aspects of beliefs about reading education, (2) the effects of teachers’ beliefs on reading class practice, and (3)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beliefs. Teachers’ beliefs about reading education are studi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and the aspects of beliefs in the subdivided areas of reading such as spelling and vocabulary instruction. In addition, most of the connections between beliefs and class practice are acknowledged. The discrepancy between beliefs and practice is not a problem in the value of beliefs, but that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ferred to discrepancies can be seen as evidence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value of the belief that changes the beliefs of teachers.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beliefs and how these factors can be used in teach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교사 신념의 개념
3.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의 양상
4. 교사 신념과 수업 실천의 관계
5. 교사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 (2)
- 대학생의 자기 지각 듣기 능력과 듣기 성향 관계 분석
-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고전교육 교수법 연구
- 한남대 글쓰기 수업의 효율적 글쓰기 훈련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와 양상
- 교육토론을 통한 공감적 의사소통능력 신장 연구
- 예비 교사의 쓰기 막힘 양상과 인식 연구
- 독자와 비독자 이해하기
- 대학생의 학습 목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구안
- 드라마의 극작법과 극적 장르의 문해력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제안
- 의사소통 교과목에서의 플립 러닝 교수·학습 방법의 도입과 적용에 대하여
- 소설 「오토포이에시스」를 통해 본 인공지능시대의 글쓰기
- ‘고학생 드라마’의 등장과 ‘상호부조’의 극장화
- 허은의 생애담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