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와 양상
이용수 130
- 영문명
- Reasons and Aspects of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재봉(Kim Chae B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6호, 171~2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정보전달의 글, 그 중에서도 결론 문장 진술을 잘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목적으로 이뤄졌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문헌 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와 양상을 탐색했다. 탐색한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전달의 글과 설득하는 글은 설득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런 현상을 장르의 관점에서 보면 북미 신수사학의 연구 경향과 맥락을 같이 하는데, 북미 신수사학에서는 장르의 변화성과 역동성을 강조한다. 결론 문장 진술도 장르의 변화성과 역동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기능)는 시작 부분과 전개 부분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한 ‘정리, 사고의 심화와 확장, 환기, 강조, 제언, 새로운 시작’이다. 특히 이들 이유(기능) 중에서도 사고의 심화와 확장을 강조하고자 한다. 셋째, 이 연구에서 밝힌 결론 문장 진술 양상은 ‘중심 문장의 요약 진술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 중심 문장의 재진술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 요점의 연결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 화제와 초점으로의 구조화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이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우 중심 문장의 재진술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과 요점의 연결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 그리고 화제와 초점으로의 구조화에 의한 결론 문장 진술 방법을 보강하여 결론 문장 진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비교사 스스로 이런 방법을 알고 활용할 수 있을 때 학생들을 더 잘 지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laying the ground work for primary school teachers to make good on the writing of information transfer, among other things,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To achieve this goal, we explored the reasons and aspects of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earch,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of information transfer and persuasive writing are the ultimate purpose of persuasion. From a genre perspective, this phenomenon is in line with the research trend of North American New Rhetoric, which emphasizes the change and dynamism of the genr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s also need to reflect the change and dynamism of the genre. Second, the reasons of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are ‘the theorem of the content mentioned in the beginning and the development section, the deepening and the extension of the thinking, ventilation, emphasis, suggestion, and new beginning.’ Especially for these reasons, we want to emphasize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inking. Third, the aspects of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stated in this study is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by summary statement of the central sentence, by restatement of the central sentence, by association of points, by structure to the topic and comment.’ For primary teachers, conclusion sentence statements by restatement of central sentences, by connection of points, by structure to topic and comment should be reinforced so that conclusion sentence statements can be made. This is because primary school teachers can better guide when he or she should knows and can be utilize these method on his own.
목차
1. 서론
2.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
3. 결론 문장 진술의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 (2)
- 대학생의 자기 지각 듣기 능력과 듣기 성향 관계 분석
-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고전교육 교수법 연구
- 한남대 글쓰기 수업의 효율적 글쓰기 훈련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와 양상
- 교육토론을 통한 공감적 의사소통능력 신장 연구
- 예비 교사의 쓰기 막힘 양상과 인식 연구
- 독자와 비독자 이해하기
- 대학생의 학습 목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구안
- 드라마의 극작법과 극적 장르의 문해력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제안
- 의사소통 교과목에서의 플립 러닝 교수·학습 방법의 도입과 적용에 대하여
- 소설 「오토포이에시스」를 통해 본 인공지능시대의 글쓰기
- ‘고학생 드라마’의 등장과 ‘상호부조’의 극장화
- 허은의 생애담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