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배관의 유속 및 압력 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Flow-Velocity and Pressure Fitness of Sprinkler Pipes Applied with Orific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재동(Kim, Jaedong) 노영재(Noh, Youngjae) 김낙석(Kim, Nakse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5호, 97~10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설계는 최상층 말단 스프링클러헤드를 기준으로 유량과 양정을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최하층 등 펌프와 가까운 층의 경우 불필요한 유량과 양정, 유속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실제 화재 시 기준개수 미만으로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됨으로서 과도한 유량, 유속, 양정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수손피해 또는 물방울 입자가 작아져 효율적인 화재진압에 불리해 질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리피스를 각 스프링클러헤드의 가지관마다 적용하여 과도한 유량, 유속, 양정을 감소시키고 건축물 각층별로 적합한 설계치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오리피스를 적용한 결과 유량, 유속, 양정이 감소하여 과압 방지를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prinkler design of buildings is based on the top-floor end sprinkler head, and the water flow rate and pressure are designed. When the floor is close to the bottom floor pump, unnecessary flow rate, pressure, and flow velocity become inevitable. Moreover, when the sprinkler head is opened to less than the actual fire time reference number, the excessive flow rate, flow velocity, and pressure are generated. Therefore, the damage to the water or droplet particle becomes less significant, which can be disadvantageous for efficient fire suppre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pplied an orifice to the branch pipe of each sprinkler head to decrease the excessive flow rate, flow velocity, and press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value was maintained for each floor of the high building. When the orifice was applied, the flow rate and positive well were reduced, which could prevent overpressur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수리계산 설계 및 문제점 도출
4. 오리피스 적용구간의 선정 제안
5.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시장에서 주소형 감지기 설치에 따른 발화지점 도달시간 실측실험
-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원전 전기화재 소방대 진압실패 확률모형 추정
- 낙하충격실험에 의한 일탈방호시설의 내충격성 평가
- 재난 및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분석
- 바텀애시 잔골재를 활용한 빗물 침투·저류 포장 블럭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 평가
- 후시공 익스팬션 중량물앵커 및 웨지앵커의 복합내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복원탄력성을 고려한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방법의 개선 연구
- 원형강관 보의 휨균열과 임피던스 신호의 상관관계 연구
- 대구 서문시장의 화재하중 산정에 관한 연구
- 한반도 주변 화산의 분화가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
- 시멘트 및 바이오폴리머 혼합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응답해석 평가
- LID 홍수조절능력 및 유출계수 상관관계 연구
- 과거지진 시뮬레이션과 시험운영 비교 분석 연구
- 내부마찰각 불확실성 및 지진을 고려한 저수지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 GFRP DSCT 구조를 적용한 3MW급 풍력타워의 단면 설계
- 플러싱 공법 적용을 위한 구역정의 및 적정유속 확보여부 모의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용도별 건축물 화재하중에 관한 비교 연구
- 한일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구조훈련 실태 비교 분석
- 국내 버스터미널의 재실자밀도 기준 정립을 위한 실측조사 연구
- 전통시장 외부공간의 화재 대응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수질-수리 인자를 고려한 상수도 관망 사이버 공격 탐지 모델 개발
- 토석류에 대한 건축물의 취약성 곡선 평가
- 융착식 PE관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
- 자갈궤도 급속개량을 위한 패널 이산지지형 사전제작 궤도구조의 거동에 관한 연구
- ECMWF와 호남지역 강설자료의 상관성 분석 및 평가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여과지 분배수로의 유량 균등분배에 관한 연구
- 시멘트 킬른 더스트 혼입률에 따른 초속경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인장성능에 관한 연구
- 철근 배근 방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의 전자파 차폐특성 평가
-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배관의 유속 및 압력 적정성에 관한 연구
- 화재안전성능 확보를 위한 방화댐퍼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무피복 철골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붕괴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 강원영동지역 소하천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대한 고찰
- 발신기 위치표시등의 관리방법 개선 연구
-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상수관로 내진성능 예비평가 방법론 개발
- 강구조 H형강 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급수요구용량 증가에 따른 유속 변화 개선에 관한 연구
- CFT를 활용한 피암터널의 형식 제안 및 정적 성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