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러싱 공법 적용을 위한 구역정의 및 적정유속 확보여부 모의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lineation of Flushing Sections and Simulation Method to Verify Appropriate Flushing Velocity for Applying Flush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수리(Kim, Suri) 김아린(Gim, ARin) 하정태(Ha, Jeongtae) 김진혁(Kim, Jinhyeok) 전환돈(Jun, Hwand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5호, 255~26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상수관망시스템은 각종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 내 침전물인 스케일이 생성된다. 생성된 스케일은 상수관망시스템에 급격한 유속변화, 유향변화에 따른 수충격 발생 시 박리되어 수용가로 유입되며, 적수, 탁수 등의 수질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러싱 공법을 적용하여 관벽에 퇴적된 스케일을 제거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의 연구에서는 플러싱 공법 수립 시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적정 유속에 대한 연구 및 실험만이 제시되어 있으며, 적정 유속이 확보 가능한지 사전에 검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러싱 공법 적용 시 적정 유속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구간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용수가 소화전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하기 위해 소화전의 유량-손실수두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모델을 재구축하고, Emitter Coefficient를 통한 압력기반 모의를 실시하여 세척구간별 적정 유속을 확보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플러싱 공법 절차를 A시 일부구역에 적용하여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적용 결과 주입점에서 충분한 압력이 확보되어있어 모든 세척구간에서 적정 유속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입점에서의 압력이 부족한 상황을 모의하기 위해 주입점에서의 압력을 20 m 낮추어 모의한 결과, 일부 세척구간에서 적정 유속 확보를 위한 유량 방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경우 실무자의 판단에 의해 플러싱 공법의 기준을 낮추거나 다른 관세척 공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water supply networks have experienced deterioration because of various factors, which result in the accumulation of a large amount of scale on the inside surface of pipes. The scale may enter houses when a surge occurs owing to abrupt velocity or flow direction change in pipes, and eventually, water quality accident such as red-water can occur. The scale should be removed by applying pipe-cleaning practices, such as flushing, to prevent this type of accident. Currently, most studies have suggested only the desirable flow velocity to remove the scale through flushing. In our opinion, it will be more critical to develop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d flow velocity. Hence, we developed a method to delineate a flushing section and modify a water supply network in considering the minor loss on the hydrant using the head loss-flow rate curve for the hydrant. Next, we simulated a flow condition using the emitter coefficient to achieve the desired flow velocity for flushing each section.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part of the water supply network of a city in Korea. From the results, the pressure head at the primary water source point of the network was sufficient such that each flushing section experienced the desired flow velocity to complete the flushing process. We lowered the pressure head by 20 m at the primary water source point and simulated a flow condition for insufficient pressure head. Under these conditions, some of the flushing sections could not experience the desired flow velocity, and hence, the scale could not be removed as desired. In this case, we believe that the utility authority should decide whether flushing is still a suitable option for cleaning the pipe, or whether other clean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1. 서 론
2. 플러싱공법 적용을 위한 세척구간 정의 및 세척절차
3. 상수관망에의 적용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시장에서 주소형 감지기 설치에 따른 발화지점 도달시간 실측실험
-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원전 전기화재 소방대 진압실패 확률모형 추정
- 낙하충격실험에 의한 일탈방호시설의 내충격성 평가
- 재난 및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분석
- 바텀애시 잔골재를 활용한 빗물 침투·저류 포장 블럭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 평가
- 후시공 익스팬션 중량물앵커 및 웨지앵커의 복합내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복원탄력성을 고려한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방법의 개선 연구
- 원형강관 보의 휨균열과 임피던스 신호의 상관관계 연구
- 대구 서문시장의 화재하중 산정에 관한 연구
- 한반도 주변 화산의 분화가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
- 시멘트 및 바이오폴리머 혼합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응답해석 평가
- LID 홍수조절능력 및 유출계수 상관관계 연구
- 과거지진 시뮬레이션과 시험운영 비교 분석 연구
- 내부마찰각 불확실성 및 지진을 고려한 저수지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 GFRP DSCT 구조를 적용한 3MW급 풍력타워의 단면 설계
- 플러싱 공법 적용을 위한 구역정의 및 적정유속 확보여부 모의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용도별 건축물 화재하중에 관한 비교 연구
- 한일 대규모 재난 대비 긴급구조훈련 실태 비교 분석
- 국내 버스터미널의 재실자밀도 기준 정립을 위한 실측조사 연구
- 전통시장 외부공간의 화재 대응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수질-수리 인자를 고려한 상수도 관망 사이버 공격 탐지 모델 개발
- 토석류에 대한 건축물의 취약성 곡선 평가
- 융착식 PE관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
- 자갈궤도 급속개량을 위한 패널 이산지지형 사전제작 궤도구조의 거동에 관한 연구
- ECMWF와 호남지역 강설자료의 상관성 분석 및 평가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여과지 분배수로의 유량 균등분배에 관한 연구
- 시멘트 킬른 더스트 혼입률에 따른 초속경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인장성능에 관한 연구
- 철근 배근 방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의 전자파 차폐특성 평가
- 오리피스를 적용한 스프링클러배관의 유속 및 압력 적정성에 관한 연구
- 화재안전성능 확보를 위한 방화댐퍼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무피복 철골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붕괴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 강원영동지역 소하천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대한 고찰
- 발신기 위치표시등의 관리방법 개선 연구
-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상수관로 내진성능 예비평가 방법론 개발
- 강구조 H형강 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급수요구용량 증가에 따른 유속 변화 개선에 관한 연구
- CFT를 활용한 피암터널의 형식 제안 및 정적 성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