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汉韩“足”类词语义取象分析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Semantic Extraction on the word class of “foot” in Chinese and Korean linguistic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박화염(Piao, Hua-Yan) 한용수(Han, Yong-Su)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72輯, 115~1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按照认知语言学的理论,人类自身的身体经验是人类认知世界的基础,是认知的出发点,也是认知的工具。脚,是指人和某些动物身体最下部接触地面的部分,是人体重要的负重器官和运动器官。汉韩“足”类词在中韩两国语言中均属核心词汇。
本文主要研究由汉韩“足”类词语素构成的单纯词和合成词,将其语义取象特征分为“结构义”和“功能义”两种类型。“结构义”指“形貌、位置、构成”的综合,“功能义”指人体部位自身的使用功能,人体词的语义功能、词性功能等语法功能。通过对比分析得出它们之间的共性与差异,以期为对外汉语教学、对外韩国语教学、汉韩人体词汇学、汉韩双语翻译学领域提供有效、可信的语义例证及理论性研究依据。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human body experience is the basis of human cognition of the world, the starting point of cognition and the tool of cognition. Feet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some animals that touch the ground, and are important weight-bearing organs and movement organs of the human body. Chinese and Korean foot words are the core vocabulary in both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This article mainly studies simple words and compound words composed of Chinese and Korean “foot” morphemes, and divides their semantic image features into two types: “structural meaning” and “functional meaning”. “Structural meaning” refers to the synthesis of “shape, location, and composition”, and “functional meaning” refers to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body parts themselves, the semantic functions of human words, and part of speech func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can be foun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and credible semantic examples and theoretical research basis for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Korean human lexics, and Chinese-Korean bilingual translation.
목차
1. 引言
2. 汉韩“足”类词基本语义分析
3. 汉韩”足“类词语义取象特征分析
4. 结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신시기 항미원조 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 사회주의 문화재구성 고찰
- 문화간 감수성 측정도구 단축판 구성
- 한·중 웹드라마 비교고찰
- 「淮陰侯列傳」의 문학적 서사구조를 통해서 본 司馬遷의 서술 시각 검토
-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인격권 문제에 관한 검토
- 중국의 장애인 취업정책에 대한 고찰
- 汉韩“足”类词语义取象分析
- 『女仙外史』에 나타난 전복의 에너지
- 韩汉将来时标记“-겠-”“要”的认识情态研究
- 특수 목적 중국어 수업 설계에 관하여
- 중국어 숫자 줄임말의 형식 및 의미 탐색
- 佛典 『緇門警訓』에 나타난 ‘示ㆍ視’의 詞義 考
- 인공지능 챗봇의 중국어 교육 활용 방안 탐색
- 기행문을 통한 중국 고전 문학 교학 방안
- 天津方言的特征及使用现况考察
- 數字簡譜組合唱讀法在漢語聲調教學實踐中的應用探析
- 여성형상 분석을 통한 『三國演義』 서사전략 고찰
- 中国自贸试验区建设与中韩经贸合作新领域探索
- 상상된 중국과 장소 그리고 정체성
- 제자백가 저작에 등장한 規矩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