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교수법]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24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임보라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워크숍 및 연례 학술대회』2020년 워크숍 및 연례 학술대회 발표집, 46~46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1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5~6학년군 초등영어 문화 수업에서 정규 수업 차시 내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초등 영어 문화 수업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초등영어 문화 수업의 지도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생들의 언어적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과 문화 인식 제고에 이바지 하는 학생 활동 중심 초등영어 문화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영어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교수학습 방향성을 파악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의 요소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언어-문화 통합을 위한 이론적 틀 3C 체계를 설정하였으며 문화 및 디지털 리터러시 지도에 대한 이론 및 선행 연구를 이해 및 분석하여 5단계의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MACER(Motivate-Activate-Communicate-Evaluate-Reflect)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 ‘동기 유발(Motivate)’ 단계는 학습자가 주제를 알고, 해결할 과제의 요점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활성(Activate)’ 단계는 학습자가 호기심을 가진 나라의 소재에 대해서 웹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 수집한 뒤 선택한 정보를 디지털교과서 내의 저작 도구인 위두랑 팝으로 표현한다. 세 번째 ‘소통(Communicate)’ 단계는 제작한 자료를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고 표현하기 위해 모둠별로 발표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 ‘평가(Evaluate)’ 단계는 발표 자료의 적절성과 발표 태도를 모둠 간 평가하는 것이며 다섯 번째 ‘성찰(Reflect)’ 단계는 산출물과 소통 과정 등에 대해 자기 평가하는 단계이다.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현장 초등 교사 4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검토 사항을 바탕으로 MACER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언어-문화 통합수업을 실천 하기 위해 교사가 단계별로 해야 할 일을 교수학습지 도안과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MACER 모형은 정규 수업시간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도구 활용 기반 학생 과업 및 탐구중심 문화 수업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혁신교육 3.0에 비추어 본 영어교사의 전문성
- [제2언어습득] Are you like English? Yes, I am like English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algorithm using natural language toolkit (NLTK)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 for primary English vocabulary assessment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초등영어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탐색
- [온라인 영어교육] 온라인 영어수업, 함께 할수록 빛나는
- [온라인 영어교육] 실시간 원격 영어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실제
- [초등영어교수법] 농촌 초등 6학년 8명의 영어 미술 교과통합수업에서 영어책 만들기 실행연구
- [온라인 영어교육] 구글도구를 활용한 通-通-通 온라인 영어수업 들여다보기
- [온라인 영어교육]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꾼 온라인 영어수업 어떻게 할까요?
- [온라인 영어교육] 광주교육현장에서의 혼합형 영어 원격수업의 사례
- [온라인 영어교육] P.E.T.활용 초4영어 블렌디드 수업 사례
- [Plenary speech]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ovice English language teachers within regional teaching research community: Exploratory practices in Putuo District, Shanghai
- [온라인 영어교육] 언택트 영어교실에서 컨택트하기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 교수 동기 변화
- [초등영어교수법] The effects of using a digital textbook and translator on 6th grade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and attitudes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Tracing Instructional Coaching Cases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 [온라인 영어교육] 포스트코로나 시대 영어과 창의 융합 수업 사례
- [초등영어교수법] Suggesting Constructions in the BNC: Let s, What/How About, and Why don t You/We
- [교사교육]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Policies
- [워크숍 특강]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 속 인공지능 챗봇의 교육적 활용
- [초등영어교수법]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모형 개발 연구
- [워크숍 특강] Application of Google Tour Creator Creating Virtual Reality Stories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 [초등영어교수법] 자기조절 학습을 통한 초등학교 영어학습부진학생의 읽기 유창성 발달 및 학습태도의 변화
- 2020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워크숍 및 연례학술대회 프로그램
- [온라인 영어교육] English Online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A new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using e-cyber learning system
- [워크숍 특강] 외국인가정 및 일반가정 초등학생 영어학습동기비교: 원격수업에서의 함의
- [교재] CEFR Basic User 단계 기반한 초등교과서 분석
- [교재] 초등영어 6학년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교사-학생 담화의 구조 및 기능 분석
- [교재] 소규모 초등학교 영어 수업 분석
- [온라인 영어교육] 언택트 환경에서 영어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On / Off-line 수업의 설계와 실제
- [제2언어습득] The effects of written language on elementary students’ interaction
- [교재] 초등영어교실의 비언어적 유머 사례 연구
- [언어평가] AI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과정중심 말하기 평가
- [언어평가]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초등영어 평가 방안
- [제2언어습득] Grammar Searches for Wh -questions during Task Performance in English
- [제2언어습득] 이해 가능한 입력과 초등영어교육
- [제2언어습득] 이중언어교육을 통한 유아의 영어습득 사례 연구
- [언어평가] Enhancing AI Literacy-based Autonomy of Primary English Teachers
- [제2언어습득] Recent Trend in L2 Motivation Research
- 개회사
- [교재] 평생학습과 검정고시 연계를 위한 코퍼스 기반 초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영어 문항 어휘 분석 연구
- [교사교육] 초등영어 교육실습생의 교육과정 문해력 증진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온라인 영어교육] 초등영어 온라인 수업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인공지능기술 활용 대화형 영어 학습 앱을 적용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 분석
- [Keynote speech]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변화에 따른 교사의 역할 탐색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초등학교 영어놀이터 공간혁신 사례에 대한 고찰
- [온라인 영어교육] 전북 온라인 영어수업
- [초등영어교수법] 언어적성 기반 초등영어 어휘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교사학습공동체 자율성 신장 방안 모색
- [온라인 영어교육] 초임교사가 마주한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극복방법
- 축사
- [교사교육] Development of Online Global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e-portfolio(Focusing on the identity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English use)
- [교사교육] 초등영어 예비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 [초등영어교수법] 교과통합 초등 영어교육 실행연구
- [언어평가] 온라인 수업 시 역동적 평가를 적용한 4학년 영어과 읽기 및 말하기 지도 방안 연구
- [초등영어교사 전문성] English Library Class & AI Chatbot Evalu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