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키나와 출토 류큐기와와 경주 출토 고려기와 비교검토

이용수  208

영문명
Exchange at sea by roof tile between Korea and Japan: Centrally Ryukyu roof tile from Korea Gyeongju style of Goryeo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양종현(Yang, Jong-Hyu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3호, 102~116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키나와(沖縄)의 류큐(琉球)시대 기와는 12세기경 고려에서 조와기술이 전해져 시작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우라소에성(浦添城) 등에서 출토된「 癸酉年高麗瓦匠造」명 문자기와에서「 癸酉年」과「 高麗」가 주목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러한 오키나와 출토 고려계기와에 대한 연구는「 三別抄」라는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진도와 제주도의 기와에 집중하여 진행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서 경주에서 출토되는 고려시대 기와에 대한 친연성을 새롭게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오키나와와 경주와의 관계를 검토해 보았다.

영문 초록

Ryukyu roof tile producting skill has been recognized to be transmitted from 12th Korea. Especially, crested roof tile「 癸酉年高麗瓦匠造」from Urasoe castle has been received public attention due to「 癸酉年」and「 高麗」. This kind of reserch about Ryukyu roof tile from Korea had been going to be focused on historical fact of 「三別抄」, the group’s progress around the Jindo and Jeju Island. But now we identified about affinity between Ryukyu and Gyeongju roof tile, around Gyeongsang Do, and we considered about relationship between Ryukyu and Gyeongsang Do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류큐기와와 경주 고려기와
Ⅲ. 류큐기와와 경주 고려기와의 친연성과 제작시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종현(Yang, Jong-Hyun). (2015).오키나와 출토 류큐기와와 경주 출토 고려기와 비교검토. 영남고고학, (73), 102-116

MLA

양종현(Yang, Jong-Hyun). "오키나와 출토 류큐기와와 경주 출토 고려기와 비교검토." 영남고고학, .73(2015): 102-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