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정책 및 계획의 연구 동향과 주요 논의
이용수 678
-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major discussions o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Focused on research articles by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조태린(Cho, Tae-rin)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28권 3호, 349~394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research trends and analyze major discussions of previous studies o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from a research historical perspectiv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d a database of related research lists through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research articles by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hen, based on the database, this paper summarized research trends of preceding studies by fields (status, corpus, education, etc.), by topics (language rank/function, orthographic norm, national language education, etc.), by relevant countries/regions (Korea, Asia, Europe, etc.). Finally, dividing the preceding studies into those related to Korea and those related to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analyzed major discussions by fields and topics based on representative and recent preceding studies. Not only does the aforementioned summary and analysis have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for preceding studies o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but they can als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task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언어 정책 및 계획의 연구 동향
3. 언어 정책 및 계획 연구의 주요 논의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 <때문에>의 비문법적 사용에 대한 연구
- 언어 접촉에 대한 사회언어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온라인 뉴스기사 제목의 비판적 담화분석
- 국내 대화분석 연구 개관
- 사회언어학적 접근으로 본 언어 교육 연구
- 언어 정책 및 계획의 연구 동향과 주요 논의
- Phonetic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the Seoul dialect
- 호칭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검토
- 중국어 대화분석을 위한 실제 대화 자료 구축 방안 고찰
- Teasing Humor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Business Meetings at a Korean Startup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