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FTA전자상거래규정 비교·분석
이용수 69
- 영문명
- A Comparison & Analysis of Electronic Commerce of Korea’s FTA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김윤근(Yun-keun Kim) 박복재(Bok-Jae Park)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19권 제2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무역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개념정의와 적용규범에 대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WTO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잠재적 무관세를 시행하는 한편 작업계획(Work program)을 통해 전자상거래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국은 FTA 등의 협정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이 체결·시행하고 있는 FTA 중에서 전자상거래에 관한 규정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FTA전자상거래 규정은 무관세, 다른 장(chapter)의 규정과 충돌 시 다른 장의 규정 우선, 전자인증, 개인정보보호, 소비자보호 등에 대해서는 공통적이지만, 전자상거래의 대상을 각기 다르게 정의하고 있고, 전자상거래의 분류 및 적용규범에 대해서는 유보하고 있으며, 비차별대우에 대해 다르게 규정하는 등 일관성이 부족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은 WTO 등의 연구에 참여하고, 미국, EU, 중국 등이 체결·시행하고 있는 FTA전자상거래 규정을 분석하여 적극적·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ough electronic commerce has grown rapidly in international trade, there is no basic consensus for its concept and rule applied. So WTO has done practice of not imposing customs duties on digital contents and been researching overall on electronic commerce through Work Program while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ttempt to obtain their interests by stipulating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in their FTAs.
This paper has compared and analysed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in all the FTAs which Korea has signed and enforced. Korea’s FTA stipulates commonly no customs duties, the other chapter’s priority when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conflicts the other chapter, electronic authenticati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nsumer protection. But it has weak consistency and framework as it has different provisions for the objects of electronic commerce respectively, reserves classification & applied rule for electronic commerce, stipulates differently on non discrimination treatment and so on.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cluding WTO and cope actively and elastically by analysing the provisions of electronic commerce of the other countries’ FTA such as USA, EU, CHINA and so on.
목차
Ⅰ. 서 론
Ⅱ. WTO의 입장과 선행연구
Ⅲ. 한국의 FTA전자상거래규정의 주요내용 및 비교
Ⅳ. 분석 및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 및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평가의 비교연구
-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연구
- FTA 협정관세 심판청구결정의 법적 기준과 검증사례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동 지역 간 상품교역 활성화를 위한 무역구조 연구
- 한국의 FTA전자상거래규정 비교·분석
- 한국수출기업의 무역대금결제의 위험관리에 따른 무역보험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외국인직접투자가 몽골 및 중앙아시아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Flexibility of cargo airlines to switch the airport
- 국가 정보화 수준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통상정보연구 메타분석
- 중국의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연구
- The Location Determinants of FDI in Developing Countries: A Case of Myanmar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