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 및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평가의 비교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 evaluation according to category similarity and store type of bi-national product
발행기관
한국통상정보학회
저자명
손제영(Jeyoung Son) 강인원(Inwon Kang)
간행물 정보
『통상정보연구』제19권 제2호, 193~2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합원산지제품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기 위해 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에 따라 구분하고 매장유형 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복합원산지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복합원산지제품의 평가를 제품카테고리 별로 비교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저를 바탕으로 공적사치재, 공적필수재, 사적사치재, 사적필수재로 구분하여 분석에 적용하였으며, 매장의 유형은 백화점/직영점, 아울렛/할인매장으로 구분하여 측정의 정교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검증결과, 제품유형과 매장유형에 따라 브랜드평가 및 매장평가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적사치재의 경우 브랜드평가와 매장평가 모두 아울렛/할인매장이 백화점/직영매장 보다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적필수재의 경우는 브랜드평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매장평가에서 백화점/직영매장이 아울렛/할인매장 보다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제품 별로 판매매장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valuate the evaluation of bi-national products, this stud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product category similarity.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types of stores, we tried to suggest alternativ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companies producing composite origin produc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bi-national product by product categories, such as public luxury, public luxury, private luxury, and private necessity, based on the psychological bases of consumers. The types of stores are divided into department store/direct store, outlet/discount store to elaborate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brand evaluation and store evaluation had interactive effec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nd store typ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public luxury goods, outlets/discount stores in both brand evaluation and store evaluation showed positive evaluation than department store/direct store. In the case of private neces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evaluation, but in store evaluation, department store/direct store was confirmed that they had a relatively positive evaluation than outlets/discount store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consumers evaluation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sales store for each produ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제영(Jeyoung Son),강인원(Inwon Kang). (2017).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 및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평가의 비교연구. 통상정보연구, 19 (2), 193-212

MLA

손제영(Jeyoung Son),강인원(Inwon Kang). "복합원산지제품의 카테고리 유사성 및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평가의 비교연구." 통상정보연구, 19.2(2017): 193-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