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이 Xanthine Oxidase/Hypoxanthine으로 손상된 배양 인체피부 흑색종세포의 세포부착율 및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 영문명
- Effect of German chamomile Extract on the Cell Adhesion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Damaged by Xanthine Oxidase/ Hypoxanthine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진은영(Eun-Young Chin) 한선희(Sun-Hee Han) 서영미(Yeong-Mi Seo)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4권 제4호, 215~22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Xanthine oxidase(XO)/√hypoxanthine(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 L., German chamomile)추출물에 대한 영향을 인체피부멜라닌세포(SK-MEL-3)를 배양한 후 세포부착율을 비롯한 DPPH-자유기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티로시나제의 활성, 총멜라닌량의 정량 및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부착율의 감소를 나타낸 반면,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부착율의 유의한 증가와 자유기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서 XO/HX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배양 SK-MEL-3세포에서 XO/HX에 대한 저먼캐모마일 추출의 멜라닌합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총멜라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μg·mL-1, 또는 160μg·mL-1의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의 전 처리에서 XO/HX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티로시나제활성 감소와 총멜라닌량의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XO/HX만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하여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XO/HX는 배양 SK-MEL-3세포에 독성효과를 나타냈으며,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은 XO/HX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 및 항멜라닌화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effect of German chamomile(Matricaria chamomile L.) extract against xanthine oxidase(XO)/ hypoxanthine(HX) i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SK-MEL-3), the cell adhesion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were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 after SK-MEL-3 cells were treated with XO/HX or German chamomile(GC) extract. In this study, XO/HX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adhesion activity dose-dependently, while GC extract on the XO/HX-induced cytotoxicity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adhesion activity damaged by XO/HX-induced cytotoxicity, and also it showed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 measurement of melanin synthesis on GC extract, tyrosinase activity and total amount of melanin was assessed in same cultures. G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a decresed tyrosinase activity and a total amount of melanin compared with XO/HX-treated group after cultured SK-MEL-3 cells were pretreated with 120μg·mL-1 or 160μg·mL-1 GC extract for 2 hours. In light microscopy, GC extract-treated group was more increased than XO/HX-treated group in cell number and cell processe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XO/HX showed toxic effect on cultured SK-MEL-3 cells, and GC extract was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XO/HX-induced cytotoxicity and melanogenesis in these cultur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ucose Oxidase로 손상된 배양 C6 Glioma 세포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성별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무궁화와 보스톤고사리 잎의 보존화를 위한 에탄올 및 글리콜의 최적 처리조건 구명
- 국유 자연휴양림의 이용자 행태 및 요구
-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이 Xanthine Oxidase/Hypoxanthine으로 손상된 배양 인체피부 흑색종세포의 세포부착율 및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시 텃밭의 이용자 인식 분석
- 광주호 호수생태원 관광객의 방문동기 유형별 생태관광 매력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PRICING OPTIONS ON VOLATILITY OF VOLATILITY MODEL BASED ON HESTON’S STOCHASTIC VOLATILITY WITH CREDIT RISK
- SPECTRUM OF LINE ARRANGEMENTS WITH MULTIPLICITIES: A COMBINATORIAL APPROACH VIA LATTICE POINT ENUMERATION
- CONTINUITY OF INTERTWINING LINEAR OPERATORS WITH SHIFT OPERATORS ON Lp(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