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시 텃밭의 이용자 인식 분석
이용수 63
- 영문명
- Users Perception Analysis of Urban Allotments for Vitalizing Local Community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임미정(Mee-jung Im) 이은희(Eun-Heui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4권 제4호, 237~24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taliz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urban allotments. For the method of study, after selecting the objective sites, a survey and its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tent of survey was divided into 4 areas greatly and total 22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Most of respondents were living near their allotments and the time of stay became longer as visit frequency increased. Also, it showed high requirement for facility expansion, community formation and educational program in their allotments. Most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form community in daily life. And, for the space of communication, surroundings of house was the highest. In the allotments,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good exchang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of allotments, so it showed they can exchange one another in the allotments near their houses. It can be confirmed by the results that mutu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came greater as they used it more often and they stayed longer. And requirement for community formation was higher as they communicated more one another. It shows that the space of allotments vitalizes local community and shows high possibility to function as a space of harmon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궁화와 보스톤고사리 잎의 보존화를 위한 에탄올 및 글리콜의 최적 처리조건 구명
- 국유 자연휴양림의 이용자 행태 및 요구
-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성별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 Glucose Oxidase로 손상된 배양 C6 Glioma 세포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사회기술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저먼캐모마일 추출물이 Xanthine Oxidase/Hypoxanthine으로 손상된 배양 인체피부 흑색종세포의 세포부착율 및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시 텃밭의 이용자 인식 분석
- 광주호 호수생태원 관광객의 방문동기 유형별 생태관광 매력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CONTINUITY OF INTERTWINING LINEAR OPERATORS WITH SHIFT OPERATORS ON Lp(R)
- SPECTRUM OF LINE ARRANGEMENTS WITH MULTIPLICITIES: A COMBINATORIAL APPROACH VIA LATTICE POINT ENUMERATION
- ENERGY DECAY OF SOLUTIONS FOR THE VISCOELASTIC NONLINEAR EQUATION WITH A INTERNAL TIME-VARYING DELAY TERM AND BOUNDARIES RELATING THE KIRCHHOFF TYPE COEFFICI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