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tween Korea and China

이용수  20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유사녕(Sining Liu) 이지연(Jiyon Lee)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49~7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 인식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과 중국의 예비 영어교사들의 교수관점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양국의 예비 영어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교수관점 지표(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 TPI) 설문을 실시하고 국가 간 교수관점 5개 영역(전달, 도제, 발달, 양육, 사회개혁)별 차이검증과 국가 내 영역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예비교사들은 공히 ‘양육’의 관점에서 높은 인식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양육’ 관점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에서는 중국의 예비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양국 간 교수관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중국의 경우, 양육과 도제 관점 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한국의 예비교사들은 양육과 발달 간 상관관계 점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양국 예비교사들이 5개의 관점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학습자 중심의 발달 관점을 첫 번째 순위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중국의 예비교사들은 (내용)전달 관점을 첫 순위로 선정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예비영어교사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수업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양국 예비영어 교사교육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teaching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tween Korea and China. Methods : To achieve this goal, the 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 (TPI) was adop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235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n=75 ) and China (n=160). In 1st and 2nd semesters of 2019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TPI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Results : The result presented three aspects: firstly, both Korean and Chinese participants tended to value Nurturing as the highest average score. Except Nurtur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two countries existed in the other four teaching perspectives, including Transmission, Apprenticeship, Developmental, and Social Reform. Secondly, in Korea and China, the correlation among each teaching perspective significantly existed, but showed the different correlation value. Thirdly, in terms of the importance degree of teaching perspectives, Korean participants preferred Developmental teaching perspective, while Chinese participants selected Transmission teaching perspective.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provided the inspiration for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how effective teaching should be obtain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사녕(Sining Liu),이지연(Jiyon Lee). (2020).The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tween Korea and China. 비교교육연구, 30 (2), 49-73

MLA

유사녕(Sining Liu),이지연(Jiyon Lee). "The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Perspectiv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tween Korea and China." 비교교육연구, 30.2(2020): 4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