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에 적합한 지역별-주기별 지진위험지도 구축
이용수 146
- 영문명
- Construction of a Site- and Period-Specific Seismic Hazard Map for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지현우(Jee, Hyun Woo) 한상환(Han, Sang Wh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2호, 207~2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이 발생하여 주변 지역에 인명 피해와 경제적 피해를 입힌 이래로, 한반도 지역에서의 지진피해 예측과 내진 설계에 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해석은 지진피해 예측을 위한 널리 알려진 방법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해석을 수행하여 최대 지반 가속도와 5% 감쇠비 적용된 응답스펙트럼 가속도에 대한 한반도 지역의 지진위험지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지반 분류별로 부지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해석 시 부지 증폭 모델을 적용하여 지진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한반도 지역의 내진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등재해도 응답 스펙트럼을 작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2016 Gyeongju and 2017 Pohang earthquakes caused casualties and economic damage in the surrounding area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arthquake damage prediction and seismic design in the Korean peninsula has increased.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is one of the well-known methods for predicting earthquake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Korean Peninsula seismic hazard maps of 5% damped response spectrum acceleration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using PSHA. To consider the local effects for each site s classification, seismic hazard maps were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site amplification model. To conduct seismic design, uniform hazard response spectra (UHRS) were also constructed for the Korean peninsula.
목차
1. 서 론
2. 부지 효과 고려한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해석
3.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하시설내 드론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요구능력 도출 연구
- SWMM 엔진을 이용한 엑셀 기반의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 개발
- 레이더 수평반사도-강우강도 관계의 유효 영역 탐색
- 빌딩 출입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고속 분석 알고리즘
-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 개발 및 활용성 평가
- 광을 이용한 항공기 화재 진압 훈련장치 개발 연구
- 포항지진 투입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 자외선불꽃감지기 치환감시실험장치 개발 및 그 타당성 연구
- 금속화재의 문제점과 안전대책 분석
- 댐 EAP 수립시 대피지도 작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적용성 분석
- 지진대피소 선정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 초고층 건축물의 계단실 내부를 수직 상승하는 플룸의 상승시간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물류창고 특성이 고려된 화재위험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 원전내 방폭형 RFID 기술적용에 관한 연구
- 일본 긴급소방원조대 운영 실태 분석
- 마그네슘과 관련된 금속화재의 문제 및 안전대책 분석
- GIS와 재난포렌식 기반 재난원인분석 표준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 동전도금 잔여물의 자연발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로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고에너지 충격 거동
- 수도권 돌발홍수 감시를 위한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운영 기술 및 수문 적용성
- 2019년 삼척지역 산사태 특성 및 산림의 방재기능에 대한 연구
- 화재 시나리오에 따른 RC 프레임 구조물의 수치해석적 거동 분석
- 한반도에 적합한 지역별-주기별 지진위험지도 구축
- Assessment of Nakdong River Basin Management: Target Water Quality Achievement and Future Challenges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비차열 덕트 내화충전구조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공항의 효과적인 재난관리 대응을 위한 공항보안검색요원의 고용체계 및 고용협력에 관한 실증적 비교연구
- 포용사회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장애유형별 현장 맞춤형 재난대응 체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