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멜로드라마 <밀회>에 나타난 민담 <손 없는 색시>의 원형성과 개성화 과정 비교연구
이용수 20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Archetype of a Folktale
, Found in a Melodrama , andThe Process of Female Individuation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공숙(Gongsook Kim) 홍용락(Yongrak Ho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3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중적 호응도는 물론 미학적ㆍ예술적 가치를 담보한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밀회>의 내적 동력을 민담 서사의 전통에서 탐색하고자 했다. <밀회>는 불륜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실상은 성공과 권력을 추구하며 일에 인생의 최고 가치를 두고 살아가는 현대 여성의 자기실현에 관한 드라마이고, 민담 <손 없는 색시>는 가부장사회를 살아가는 여성의 인격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원형적 서사다. 비교연구 결과 주인공들은 부성 콤플렉스, 모성 콤플렉스,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무스 등 무의식과 의식 간의 괴리에서 오는 심리적 문제를 통합하고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살게 되는 공통점이 있다. 현대의 드라마에서도 원형적 서사와 캐릭터는 보편성 확보에 유리하고 대중의 정서에 부합할 가능성이 크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손 없는 색시>의 원형성과 <밀회>
3. <손 없는 색시>와 <밀회>의 서사구조
4. <손 없는 색시>와 <밀회> 주인공의 개성화 과정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용가 최승희를 소재로 한 콘텐츠 스토리텔링 비교 고찰
- 저출산 시대 육아 리얼리티 텔레비전이 결혼ㆍ출산 및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게임 <와치독2>에서 재현되는 현대 도시성
- 멜로드라마 <밀회>에 나타난 민담 <손 없는 색시>의 원형성과 개성화 과정 비교연구
- 한ㆍ중 TV드라마 산업정책 비교연구
- 번역의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으로서의 창의적 해석
-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동기 영역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토대 연구
- 『1차원적 인간』에 대한 반성적 이해
- 영상문학으로서 TV드라마의 문학성
- 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