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Employee Brand Equity on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 An Application of SOBC Model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신동호(Sihn, Tongho)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0권 제2호, 51~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합적인 브랜드자산 전략 수립을 위해 기존의 제한적인 소비자 관점 및 재무적 관점의 브랜드자산 연구를 확장하여 브랜드자 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업원을 기반으로 하는 종업원브랜드자산의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SOBC 모델을 적용하여 브랜드자산 연구에서 새롭게 등장한 3번째 관점인 종업원브랜드자산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성을 실증하여 학문적 실무적 관심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인 브랜드지식, 역할명료성, 브랜드몰입과 조 직지원인식, 브랜드시민행동 및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업의 브랜드자산 전략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는 국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326부를 활용하여 구조모형방정식 분석을 통한 연구모형의 적 합도와 제안된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직지원인식은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 요인인 브랜드지식, 역할명료성 및 브랜드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종업원브랜드자산 의 구성요인인 브랜드지식과 브랜드몰입은 브랜드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명료성은 브 랜드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요인인 역할명료성은 고객지향성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지식과 브랜드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시민행동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업원브랜드자산이 기업 성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종업원의 브랜드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이 성공적으로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에 대한 종업원 역할을 재검토하고 종업 원브랜드자산을 포함하는 확장된 브랜드자산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anded the research of brand equity perspective to employees who play an important role for building brand equity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financial and consumer perspective to provide comprehensive strategy of brand equ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the affective relationship of employee brand equity and three dimensions of employee brand equity: brand knowledge, role clarity, and brand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based on the SOBC model. The 10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explain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data from domestic employees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was used to validate and verify the proposed model and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of three dimensions of employee brand equity respectively which were brand knowledge, role clarity, and brand commitment. Second, both brand knowledge and brand commitmen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but role clarity did not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Third, role clar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both brand knowledge and brand commitment did not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customer orientation. Four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 orientation.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bo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respectively. Brand commitment also had indirec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companies should re-evaluate the importance of employee roles to build and enhance brand equity, moreover, they are requir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brand equity strategy including employee brand equity which can be the foundation for future performance indicators of employee behaviors such as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유통채널상황에서 사용자 피로감과 성가심이 즐거움, 저항,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방삼계탕 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서비스 품질이 점포이미지와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토어의 품질요인과 쇼핑 감정반응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NA기법을 활용한 일대일로 항공네트워크 분석 연구
- 행복한 소비자를 위한 유통업체의 전략에 관한 연구
- 통합공급사슬에서 다기능 물류시설의 최적 용량 계획 및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 종업원브랜드자신이 브랜드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녹색물류관리 수준이 녹색물류활동과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18년도 국내 T-11형 및 T-12형 파렛트 생산/사용 실태조사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 한국 자유무역지역의 운영효율성 분석
- 중국 물류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중간재 무역에 미치는 영향: 국가 간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 Korean Functional Cosmetics in Emerging Markets: What Matters to Younger and Older South African Consumers?
- 무역연구 제21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