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AC focused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김경양(Kim Kyung Yang) 김성현(Kim Seong Hyeon)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0권 제1호, 103~1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발달장애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전 생애에 걸쳐 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 성인에 대한 체계적인 중재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주간보호센터에서 비구어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중심의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분석으로 진행하였고, AAC 중심의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위해 다음 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첫째, 성인 서비스 기관의 의사소통 환경 구조화 지원. 둘째, 의사소통 진단 및 평가를 통한 그룹 구조화. 셋째, 맞춤형 AAC 중재 서비스. 넷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서비스 기관 종사자 의사소통 상대방 교육 및 훈련.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기능 및 횟수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의사소통 형태가 다양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제공인력의 의사소통 사용 전략이 다양해지고 특히 기다리기 전략 사용이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성과를 토대로 향후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Despite the need for life-long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pa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AC focused comprehensive communication program tailored for a day care center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e intervention included the following components: 1) modification of the environment and daily structure of the day care center to facilitate participants communication, 2) evaluation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3) provision of an AAC intervention customized to each participa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4) staff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their ability to support participants communi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function and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Participants also showed improved use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inally, staff reported increased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communication with participa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Suggestions for future use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조기덴버모델(Early Start Denver Model) 부모훈련의 효과성 검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치료개입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능 기반의 쓰기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 AAC 중심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형제자매 주도의 상호작용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