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환경보건 실태와 남북 협력방향
이용수 224
- 영문명
- Status of Environmental Health in North Korea and Directions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황나미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8년 가을 학술대회 자료집, 15~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1. 건강과 환경에 대한 시각
2. 지속가능한 미래 환경을 위한 국제사회의 목표
3. 지속 가능한 건강보장을 위한 북한 환경보건 실태
4. 북한주민의 건강 위해 및 사망의 주요 환경인자
5. 국제기구 및 북한의 환경보건 개선 노력
6. 건강보호를 위한 남북 환경보건 협력 전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중노년층의 황반변성에 대한 누적된 대기오염의 영향
- 수질 중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분석법 개선 연구
- B16F10 세포주 및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트리엔 구조 유사체의 멜라닌 생성 억제 영향 평가
- 광주지역내 바닥분수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다재내성 확인에 관한 연구
- 로스터리 카페에서 원두 로스팅시 실내공기질의 변화
- 아스콘 제조 공정의 공기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석영 및 원소탄소 농도 수준
- 서울시 위해우려제품 사용실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
- Impact of biomass burning on indoor air 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 어린이용품 시장조사 및 제품 내 화학물질 정보
- 내분비계 교란물질 165종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독성자료 조사
- 식이조절을 통한 비스페놀 노출량 변화 추이: 엄마와 아이의 식이 중재연구 결과
- 실내외 환경유해인자 모니터링 센서 특성 연구
- 학교 석면 건축물 철거 · 제거 시 외부 공기 중 석면섬유 농도
- IoT Data를 활용한 실내공기질 정보화 & 고객 커뮤니케이션
- 환경 유해인자 감시를 위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
- Application of 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modeling to exposur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henols in consumer products
- 식이 및 개인위생용품 제한을 통한 파라벤 노출 중재연구 설계
- 도시와 농촌지역의 석면 슬레이트 지붕 건물에 대한 건축물 대장과 현장조사 비교
- 산업보건 분야 : 밀폐공간 작업의 새로운 측정방법
- 계절에 따른 다양한 미세환경에서 PM2.5 I/O ratio의 차이
- 고위험성우려물질(SVHC)이 함유된 제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자료 현황 조사
- 수도권 지역 어린이의 소변 중 환경화학물질 노출도 조사
- ICT 융복합 친환경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어린이용품 노출계수 자료 활용 방안
- 국내 일부지역 주민들의 요중 카드뮴 농도
- 국내 방역용품에 함유된 성분 및 건강 유해화학물질 조사
-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 고도화 구축 체계
- 초음파 가습기 사용시 발생하는 PHMG의 공기 중 거동 특성
- 수은 인체 노출저감 및 인식증진을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효과
- LC-MS/MS를 이용한 콘돔 중 니트로사민류 분석법 개선
- 일일 시간활동패턴을 기반으로 한 20대 대학생들의 실시간 초미세먼지 (PM2.5) 개인노출 수준 비교
- Spatial variation in lag structure tin the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mortality in seven major South Korean cities, 2006-2013
- Assessment of the air pollutants emission reduction policies on hospital visit for asthma in Seoul, Korea. A Quasi-experimental Study
- 내분비계장애물질(EDCs) 맞춤형 위해성평가 프로세스 구축 및 : IRAMe 과제 결과
- 폐금속광산 지역주민들의 중금속 노출평가 - 일반 인구집단과 비교하여
- 수생태 독성자료 정규성 등 분포 특성 확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인의 화장품 고노출 집단 규명 및 동시사용 패턴 분석
- 흡착전기산화방식을 이용한 하·폐수중 미량오염물질 처리
- 건강보호를 위한 상수도 수질관리 정책 방향
- 의과대학 해부학 실습실의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 평가
- 실내외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 기반 감시시스템 개발
- 대학생들의 생활활동패턴에 따른 실시간 초미세먼지(PM2.5) 개인 노출 용량 비교
- A study on the Discovery of SNPs as Biomarker Related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Lung Cancer Pationts
- S대학교 신축건물의 HCHO, VOCs의 농도에 관한 연구
- 실내공기 중 PM10 측정 시간의 변화에 따른 농도 비교
- 분리막 기술을 이용한 축산시설 CO₂ 포집 및 시설 하우스 공급 장치 개발과 사업화
- 북한 환경보건 실태와 남북 협력방향
- 2018년 인천지역 월별 대기 중 결정형 실리카 농도
- WHO 취약계층 환경보건 협력센터 활동 소개
- Association of Sick Building Syndrome Symptoms with Indoor Air Quality Awareness of Workers in Underground shopping Arcades
- 충남지역의 화력발전소 인근 실내 미세먼지 농도 비교
- 서울지역 미세먼지 중 중금속 분포특성 연구
- 석유화학산단지역 인근 Benzene 노출에 따른 건강 위해성평가
- 북한 환경보건 현황 추론
- 서울시 신축공동주택의 미규제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특성 조사
- 한국-태국산모의 소변 중 프탈레이트 및 DINCH 대사체 수준
- 환경보건자료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 내분비계장애물질(EDCs) 통합 위해성평가 및 관리 플랫폼의 개발
- 학교 교실의 공기정화장치 효율성평가
- 전 생애 유해인자 노출에 대한 환경보건서비스 시스템
- IoT기반 실내정원용 그린지수 및 관련 실내환경개선시스템
- 자기성 이온교환수지(MIEXⓇ) 기술 평가
- 어린이용품 노출계수 조사와 노출시나리오 작성
- WHO 서태평양지역 개발도상국의 환경보건
- Associations between urinary phthalate metabolites and walking speed in elderly adults
- 소각시설에 대한 환경상영향조사의 새로운 접근법
- 여수 산업단지 주변 지역 주민들의 VOCs 노출 농도에 관한 연구
- 스프레이 도장 공정에서 분체도장원의 6가크롬 노출 수준
- Globally Harmonized System와 다변량분석을 통한 화학물질 관리 우선순위 설정
- Development of a Screening Method for Health Hazard Ranking and Scoring of Chemicals Using the Mahalanobis-Taguchi System
- 분진 노출이직자에서 발병한 COPD환자의 전신염증과 산화스트레스 연구
-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되는 2-ethylhexyl 4-methoxycinnamate (EHMC)가 제브라피시 및 제브라피시 세포주(ZFL)의 갑상선 호르몬 발현 경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브라피시 배아를 이용한 p,p’-DDE의 갑상선 교란 가능성 탐색
- 가정용 향균 제품 사용과 초등학생의 알레르기비염 발생과의 관계: 5년 추적 조사
- 화학물질 노출과 만성 신장질환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화장품 사용을 통한 한국인의 DEHP의 종합노출량 추정
-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자의 건강영향평가-Ⅱ
- 생활화학제품의 확률론적 노출평가에서 적합도 검정 방법 선택의 중요성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노출영향 요인 및 노출평가 개선 방안
- 안전기준 미고시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의 관리와 승인체계 구축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대사체의 노출수준 및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작업자 노출평가 툴의 노출계수 비교 연구를 통한 국내 적용성 평가
- 소변 중 파라벤류와 트리클로산류 동시분석법 개발
- 어린이용품 내 신규 환경유해인자 선정 및 적용방안
- 한국과 태국임산부의 소변 중 수은농도 분포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