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과정중심 말하기 평가
이용수 2,442
- 영문명
- Process-oriented speaking assessment of primary English using AI chatbo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원경(Choi, Wonkyu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6권 1호, 131~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contex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n AI chatbot and implemented a speaking performance test using it for 3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results first show that a specific function of the AI chatbot which can track students utterances during the speaking test must be a strong point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It provides teachers with very useful information about students speaking processes as well as performances, which could further be used to help improv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Second, the results of a survey indicate that students are generally fond of interacting with AI chatbots and that their interests in chatbots may motivate willingness to speak in English.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 some limitations of using AI chatbots in classroom. Despite the breakthrough in AI technology, AI chatbots still have technical problems that may severely harm feasibility of using chatbots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e.g. low accuracy rate of voice recognition. There is also an issu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I chatbot-based speaking test that should be endorsed by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AI chatbots should be cautiously applied in process-oriented assessment towards making full use of the state-of-the-art AI technolog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설계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