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분채권과 상속재산분할
이용수 191
- 영문명
- Divisible Claims in the Procedure of Inherited Property Divis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박근웅(Park, Keun-Woong)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34卷 1號,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lation to Inheritance, there should be a fair Distribution among the Heirs. If a Divisible Claim, such as Deposit Bonds, is not recognized as a Subject of inherited Property Division, it impedes fair Division of inherited Assets. In 2016,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Divisible Claim would also be subject to Inherited Property Division exceptionally. But the Scope of the Exception is unclear, and it is questioned whether it would be desirable to make Divisible Claim an Exception for Inherited Property Divisions.
In 2016, the Decision of the Japan Supreme Court also considered Deposit Bonds to be Subject to Property Division. However, if the Deposit bonds are viewed as the Subject of inherited Property Division, it becomes difficult for each Heir to dispose it until the Property Division is achieved. Thus, in recent Years, Civil Law Amendments have been made to compensate the Defect .
In Conclusion, divisible Claims should ― in principle ― be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Inherited Property Divisio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Division of Bonds at the Time of Inheritance is only temporary, and that the Attribution of Bonds are decided conclusively by the inherited Property Divis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국내에서의 논의
Ⅲ. 일본에서의 논의
Ⅳ. 가분채권의 분할상속 여부와 재산분할 대상성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