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숭아 대목 ‘피알1’
이용수 10
- 영문명
- ‘PR1’ Peach Rootstock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남은영(Eun Young Nam) 권정현(Jung Hyun Kwon) 전지혜(Ji Hae Jun) 정경호(Kyeong Ho Chung) 조강희(Kang Hee Cho) 윤석규(Seok Kyu Yun) 김성종(Sung Jong Kim) 송승엽(Seung Yeob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2 No.1, 81~8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ange of peach rootstocks currently available worldwide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peach rootstocks in Republic of Korea still primarily use mainly seeds of different species imported from China. This kind of rootstocks is not ideal for clonal production and uniformity since it is a varietal blend of genotypes with diff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We collected genetic resources of 214 native peaches and determined 156 native peaches for breeding the suitable peach rootstock with easy propagation, uniform growth habit, and the resistanc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under domestic conditions. ‘PR1’ peach rootstock [Prunus persica (Batsch) L.] was originated from open-pollinated seeds of ‘PHJN0129’ collected in 2001 at Suncheon. ‘PR1’ peach rootstock was preliminarily designated as ‘PH193’ in 2002 and then grafted onto ‘Maotao’ (P. persica) wild peach seedling rootstocks. In Hwasung, three grafted trees were observed from 2005 to 2009 and seen to have the properties of ‘PH193’. In Suwon, one-year- old seedlings were observed from 2010 to 2014 and showed to have the commercial availability of ‘PH193’ when compared with 5 peach rootstocks (Tsukuba No.4, GF677, Nemaguard, Yumyeong, and imported peach seeds from China). ‘PH193’ was finally selected in 2014, owing to its superior seed germination, graft compatibility, resistance to nematodes and crown gall, and low mortality. It was named ‘PR1’ to indicate the first peach rootstock in Republic of Korea and was released for commercial use in 2015. (Grant Number 5896).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처리가 인삼 종자의 개갑, 발달, 생존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복숭아 Genomic DNA의 FT-IR 스펙트럼을 이용한 대목 육성용 야생종 복숭아의 다변량통계분석
- 인디카 품종 IR72유래 흰잎마름병 저항성 및 노화촉진 계통 ‘MY298BB’
- 저온에서도 결구가 잘 형성되는 배가 반수체 배추 ‘원교20051호’ 개발
- 당도가 높고 식미가 우수한 단옥수수 ‘백금옥’
- MutMap 분석에 의한 벼 왜성 돌연변이 계통의 변이 유전자 탐색
- 휴면기간이 짧고 맛이 좋은 2기작감자 신품종 ‘금선’
- 세대단축을 위한 장일처리 시 국내 밀 품종의 출수 및 생육 특성
- 수수 및 단수수 [Sorghum bicolor (L.) Moench] 수집 유전자원의 내염성 비교 평가
- 내병성 다수성 흰색 참깨 품종 ‘유미’
- 식용 자색 고구마 품종 ‘단자미’
- 복숭아 대목 ‘피알1’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