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on Sexual and Gender-Based Crimes: Background and Normative Status at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저자명
- 이혜영(Lee, Hyeyoung)
- 간행물 정보
- 『국제법평론』제55호, 25~5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ile sexual and gender-based crimes (‘SGBCs’) are as common as murders during situations of armed conflict and mass atrocity throughout history, international law was indifferent toward SGBCs for a long period of time. SGBCs in conflicts or other forms of instability were considered as mere opportunistic criminal activities or idiosyncratic acts committed by a few errant soldiers. It was only after 1990 that international law started affirming that SGBCs are used as a tactic of war to deliberately target civilians or committed as part of a mass atrocity against civilian populations, which could significantly impede the restoration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normative status in developing international criminal law on SGBCs. With this purpose in mind, this article first provides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legal proscription of SGBCs in international law has shifted throughout history, and examines what motivates this shift in international law on SGBCs since the 1990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normative status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on SGBCs by examining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he policy of the Court’s Office of the Prosecutor to investigate and prosecute SGBCs, and jurisprudential developments shaped by the Court’s recent judgments on SGBCs.
목차
Ⅰ. 서 론
Ⅱ. 역사적 배경
Ⅲ. 성범죄·성차별범죄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ICC) 실행
Ⅳ.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