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Program of Mathematical Experiment Using String Art and Satisfaction for Expanding Mathematical Knowled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범석(Kim, BeomSe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호, 1055~10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 확장과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한 수학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2019년 4월부터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및 선행연구조사, 프로그램의 주제 발굴 및 개발과 보완과정을 거쳐 2019년 7월과 8월에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서 7월과 8월에 시행된 과학캠프에 참가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과학 캠프가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심화적인 수학 지식을 전달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흥미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체험을 통한 산출물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산출물을 활용한 수학 실험을 통하여 수학적 지식을 확장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해 보았다. 한편, 참가한 학생 82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균이 4.19를 나타낼 정도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단기간에 적용한 수학 학습 프로그램이지만, 학생들의 수학적 흥미 신장과 수학 지식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되며 향후 수학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want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expanding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and learning math by using the vacation period. The program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science camp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19 was applied after setting goals for the program, researching, developing, and supplementing the program s topics from April 2019. Since the camp takes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using the vacation period, there are difficult problems in conveying diverse and in-depth knowledge of mathematics to students, we designed a program to produce hands-on outputs to help students increase their mathematical interest. In addition, programs were organized and applied to expand mathematical knowledge through mathematical experiments using outputs. Meanwhile, a survey of 82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gram was 4.19. Although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pplied math learning programs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mathematical interests and expand their math knowledge, and it will help them develop math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스쿨(d. School)의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모델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창의력 수업경험 탐색
- 수학지식 확장을 위한 스트링아트 수학 실험 프로그램 개발 및 만족도
- 수련 상담사의 윤리강령 중요도 인식연구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도덕성 발달 연구에서의 내러티브와 해석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여가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고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교육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국의 고등교육기관 및 대학평가제도 연구
- 대학생의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백신접종의향 예측요인
- 초등교사와 뮤지컬 강사의 협업을 통한 어린이 뮤지컬 교육 활성화 방안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생과 발명영재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 비교 분석 및 기술 교육에 주는 시사점
-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분석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차이와 관련 변인의 관계분석
- 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 언어능력, 부부갈등 간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위험에 대한 태도와 위험성 감수놀이에 대한 허용도 차이
-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영향요인
- 영화를 통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
- 인성동화제작 프로젝트를 통한 가치덕목의 재인식
- 유치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중요도-수행도 비교분석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하는 모-자녀 갈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평가에 기반을 둔 한국어 토론 수업의 비계설정(scaffolding)에 대한 연구
- SBAR를 이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습참여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 네이버 빅데이터를 통해 본 ‘유아영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 트렌드
- 과학경진대회 참가 학생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의 수준 분석
- 정신건강복지센터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행동, 태도,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 교육계열 대학원생의 과제 의미 인식과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 프로파일 분석에 기반한 초등교사 경력별 수업전문성 연구
- 연쇄법 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생의 그릿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동체 의식의 이중매개효과
- 내용 언어 통합 영어 교재 분석 연구
- 토론 담화에서의 정의(定義) 전략 분석
- 대학생의 목표지향성이 정신병리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돌봄체육 지도자의 프로그램 운영 반성과 개선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직과목 수업에서의 사전학습참여, 과제가치, 학습실재감, 수업참여, 학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 공통교양과목 <1학년 세미나> 온라인합동강좌 개발 및 효과
- 대학에서 교과목 인증제도 적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에 관한 요구 및 개선방안 탐색
- STEAM에 기반한 탐구중심 유아과학교육 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과학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와 소통하기’에 대한 질적 탐색
- 모의 자기체계능력 및 학부모교육 참여와 초등 2학년생의 학교적응 변화의 관계
- 어린이집 누리교사의 누리과정 실행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한 초등교사가 실천한 경제수업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골프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교수 측면
- Analysis of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Global Lifelong Learning Index (GLLI)
- 시·도지역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 분석
-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 집단적 의사결정 수업을 적용한 학급 규칙 만들기 사례연구
-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효능감의 관계에서 능력신념의 조절효과
- 중학생이 인식한 가정과교사의 권력기반이 가정교과의 중요도와 흥미 및 자기결정성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통한 과정 중심평가의 실제
- Kazakhstani EFL instructional teaching strategies towards heterogeneous classroom
- 학생자치활동의 초등 정치교육적 함의
- 작은학교 무학년제 교과 융합형 협동학습 수업실행 연구
- 영유아 사교육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