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이용수 299
- 영문명
- Analyze Influence Which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sabled Ha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구만서(Koo, Man-Seu) 백은미(Baek, En-Mi)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33호, 37~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은퇴 후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민연금연구원에서 발표한 국민노후보장패널(6차년도, 2015)의 사회 · 경제적 활동에서 은퇴한 장애인 107명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민연금수급액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가 삶의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보험가입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국민연금수급액과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e which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sabled ha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 and for this, the study analyzed moderating effect using national pension and health insurance in the 6th year national old age security panel data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201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national pension as had an effect to moderate influence which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sabled ha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 while health insurance had a moderating effect. It is believed such results are due to income of the disabled which is just 53.4% of the non-disabled. Thus, this study suggested necessity of policy alternative to increase national pension receipts of the disabled and to increase additional expenses for mitigation of disabling condition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격 성향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사들의 현장 실천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방문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검증
-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 은퇴 장애인의 심리적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실천과 직무 만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