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ment of Exposure to and Risk of Formaldehyde and Particulate Matter (PM10 and PM2.5) by Time Activity Applying Real-Time Indoor and Outdoor Monitoring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윤단기(Danki Yoon) 남궁선주(Sunju Namgoung) 공혜관(Hyekwan Kong) 홍형진(Hyungjin Hong) 임희빈(Huibeen Lim) 박시현(Sihyun Park) 이혜원(Hyewon Lee) 이정섭(Jungsub Lee) 이철민(Cheol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5권 제6호, 646~65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ethods to investigate continuous monitoring of concentration levels and assess the exposure of individuals considering the actual time activity of residents for formaldehyde and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of a house, assess the health risks of children and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osure assessment, and provide basic data on studies for assessing exposure and health risks in Korea in the future.
Methods: The concentration levels of formaldehyde and particulate matter were measured in a family home in Gyeonggi-do Province from April 25 to July 31, 2019, using electrochemical sensors (formaldehyde) and light scattering sensors (PM10, PM2.5). Risk assessment by the duration of exposure by time activity was performed by dividing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nd indoors and outdoors.
Results: The greatest level of carcinogenic risk from inhaling formaldehyde was indoors during the weekdays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For children, the risk was at 7.5 per approximately 10,000 people, and for adults, the risk was at 4.1 per approximately 10,000 people. PM10 and PM2.5 also showed the greatest values indoors during the weekdays, with children at 1.7 people and 1.4 per approximately 100 people, respectively, and adults at 8.2 per approximately 1,000 and 1.8 per approximately 100 peopl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isks of formaldehyde, PM10 and PM2.5 were shown to be high indoors. Therefore, consideration of exposure assesment for each indoor pollutant and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s necessary.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위한 소변 중 금속류 동시분석법 개발 및 검증
- 국내 실외공기의 곰팡이 분포 및 노출에 따른 염증영향평가
-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of Firefighters
- 청소년 건강행태 및 생활환경과 천식의 관련성
- 비육돈사 공기중 분진 수준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및 돈사내외부 분진 수준 비교분석
- 우리나라에서 지난 10년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의 특징과 기후요소와의 관련성
- 충청북도 일부지역 내 주택 실내 라돈 농도
- 전라북도 일부지역의 라돈 농도 비교 연구
- 일부 농업인의 개인보호구 착용빈도 점수와 요 중유기인계 농약 대사체 농도와의 연관성
-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작업자의 요 중 브로마이드 이온을 이용한 생물학적 노출평가
- 천연광물의 양극성 표면개질을 이용한 상수원수 중 중금속제거 특성
- 포천시 공단지역 미세먼지 중 중금속농도 특성
- 수용체 기반 지역 위해관리를 위한 환경관련 민원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실내·외 실시간 모니터링을 활용한 폼알데하이드 및 미세먼지(PM10, PM2.5)의 거주시간별 노출 및 위해도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