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이브 콘서트 소비 경험과 딜레마
이용수 300
- 영문명
- The consumption experience of live concert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유지연(Yoo, Ji Yun)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14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대중음악 상품 소비 경험이 음악 소비자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에 관한 연구로, 라이브 콘서트 소비자 분석을 통해 문화 소비 경험과 관련된 소비자의 딜레마를 탐색해 보려고 한다. 이 연구는 음악 상품 경험과 소비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20명의 라이브 콘서트 관객과 심화 인터뷰를 통해, 대중음악상품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소비 경험과 관련된 딜레마가 분석되었고, 특히 한국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 순응과 자기표현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사회에 녹아 있는 유교사상과 관련 깊은 체면, 과시 등의 요소가 개인의 개성과 자아 표현 이슈와 부딪치며 표출되는 딜레마가 대중음악 상품 소비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상품 소비자를 이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 ‘Confucian Postmodernism’이 제시되었다. 이는 서양 중심의 포스트모던적 소비 개념만으로 완전히 설명될 수 없고, 한국만의 유교적 성향을 배제할 수 없는, 한국적 문화상품 소비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유용할 것이다. 이는 체면을 지켜야 하면서도 한편으로 문화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개성을 드러내려는 한국 문화소비자가 보이는 딜레마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대중음악산업 및 문화 상품 마케팅에서도 더욱 주목해야 할 실용적 가치를 제공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s how popular music consumption experience is rel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social identity in Korea.
Live concerts, now a crucial part of music industry in Korea, is the key subject of analysis, through which the current conditions of cultural con-sumption in Korea are assessed and tensions on identity arisen in the contemporary Korean consumer society can be explored. Having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vi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twenty live music consumers in Korea,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pecificity of Korea and its recent sociocultural condition which sets up a particular set of dilemmas around social conformity vs. individualistic self-presentation, and this in turn will require a specific theoretical ap-proach adapted to that Korean experience. A theoretical concept ‘Confucian Postmodernism’ is derived to portray the paradoxical rel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postmodern sensibilities within the practices of consumption in Korean music market, integrating the ambivalent stances of commonly shared Western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traditional values embedded in Korean society as a form of cultural disposition.
목차
1. 서론
2. 포스트모던 소비에 관한 이론적 배경
2.1. 파편화(fragmentation)
2.2. 생산과 소비의 융합(integr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2.3. 포스트모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postmoder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2.4. 병치된 다양성(juxtaposed multiplicity)
3. 인터뷰 설계
4. 사회적 차원에서의 음악 소비 경험
5. 결론: Confucian Postmodernism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