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동통신사의 콘텐츠 상품으로 전락한 대중음악
이용수 250
- 영문명
- Popular Music Degenerated into Item of Mobile Company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한찬희(Han, Chan Hee)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7호, 36~74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디지털화와 이동통신사 자본의 부작용이 음악산업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글이다. 최근 10년간 한국 음악산업은 디지털화 이후 음반산업의 몰락에 따른 급속한 변화를 겪었고, 이 과정 속에서 이동통신사들이 자신들의 망을 통해 음원시장에서 막강한 힘을 과시하게 되었다.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재편된 음원시장에서 음악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형태로 나타나 미디어 형식에 따라서 그 내용이 바뀌어 가고 있다. 감상하는 음악은 자취를 감추었고 단순하게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는 음원만이 교환된다. 대중음악이 주 수익원인 모바일 영역에 적합한 형식의 음악들 위주로 생산되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는 대중음악이 모바일에 기생 혹은 흡수된 결과이다. 벨소리와 통화대기음의 범람은 감상용 음악을 액세서리와 같은 장난(감)용 음악으로 바꾸었다. 손 안에서 만지작거릴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형식이 콘텐츠의 형식에 영향을 준 것이다. 대중음악이라는 문화형태는 단순하고 자극적인 놀이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되어 버렸다. 또한 노골적인 방식으로 이동통신사의 자본이 창작과정에 개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대중음악의 퇴행적인 모습으로 비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s that digitalization and capital of mobile companies in the music industry cause side effects. Last 10 years the music industry was undergoing rapid change according to the downfall of the record industry, in this process mobile companies display their own powerful force through networks to the market. On the other hand music industry was reorganized focusing mobile devices, music appear to be simple and repetitive in that media formats replaced its contents. Enjoy music disappears in the music industry, so music stimulates simply visual and auditory.
Because Popular music in the mobile space is produced as the appropriate type of mobile market. It is Popular music for mobile is a result of parasitic or absorbed. Flooding of the bell and the ring has changed enjoy music to accessory. Format of mobile device in the hands affects format of its content. Popular music as culture became no more or less than very simple thing. In addition, capital of mobile company intervene openly in the process of making music. Finally, as stated above this article criticized the process of degeneration of music culture.
목차
1. 머리말
2. 디지털 시대 음악산업의 문제점
2.1. 이동통신사 자본의 집중
2.2. 문화의 상품화, 음악의 상품화
2.3. 음악상품의 문화적 퇴행
3. 음반에서 음원으로: 음악산업의 구조변화
3.1. 1980~1990년대의 음반시장
3.2. 2000년대~현재의 디지털음원시장
4. 음악산업에 나타난 자본지배의 결과
4.1. 이동통신사의 시장 진입
4.2. 이동통신사 초과이윤의 원천: 지대와 특별 잉여가치
4.3.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 대중음악의 형식 변화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