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래시’ 창작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A Song-Poem’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임수경(Lim Su-Kyung)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4호, 9~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시와 노래라는 장르의 이분법을 지양하고, 현대사회에서 소통될 수 있는 시와 노래의 합일지점으로 ‘노래시’를 제시하면서, ‘노래시 창작’의 목적 및 과정에 접근하는 교육방법 시론(試論)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시 시(詩)와 노래[歌]는 하나였다. 이러한 시원(始原)을 전제로 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문학(문화)적 사유를 체계적으로 확장·적응시키고, 그 표현의 방법으로 ‘시’ 형식을 차용해 ‘노래’로 발현시키는 교육방법론에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이 적용되는 수업은 창작교양실기 과목이다. 따라서 이 ‘노래시 창작교육’은 단순히 ‘노래시를 쓴다’는 수동적인 발상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고, 근본적으로 시 창작교육의 목적인 ‘표현능력’의 신장에 한정하는 것을 넘어서서, 노래시의 창작을 통해 문화(문학)를 이해하고 사유를 표현한다는 방향으로 거시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본질적으로 성찰적 기능과 인문적 사유의 훈련, 그리고 재인식과 재창조로의 이행까지의 과정을 포괄적으로 함유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전제와 방법론이 적용된 실제 수업에 대한 분석과 결과 도출, 방법론 점검까지 다루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sublate dichotomy of genre that is a poem and a song, and presents ‘A song-poem’ to mutual understanding on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method approaching to objective and process of ‘Creation of a song-poem’.
A poem and a song were one originally. By the origin, I wish to systematically extend learner’s literary (cultural) thoughts and by method of the expression, I wish to confirm possibility of education methodology developing as ‘A song-poem’.
The Class that this method of study is applied is the culture subject for practice of writing skill. Therefore, this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a song-poem’ is not simply ‘to write a song-poem’ but to understand culture through creating a song-poem. Essentially, the creative literature contains process to performance comprehensively by individual training, and re-recognizing and re-creating function about the human knowledge.
This study includes how to manage applied analysis about actuality class, education proposition and methodology checking.
목차
1. 시와 노래
2. 학습자와 노래시
3. 교수 - 학습 모형
4. 실제와 점검
5.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