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독한 뮤지션 공간의 탄생: 가상악기 전성시대에 대한 고찰
이용수 261
- 영문명
- The Birth of Solitary Musician Spaces: A Study on the Heyday of Software Synthesizer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김병오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23호, 203~2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 창작자들은 향유 대중의 취향에 민감하다. 유행이 변하면 자신의 음악도 변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작자들이 변해야 하는 이유가 단지 음악적 유행 때문인 것만은 아니다. 유행 외에도 창작 환경의 변화가 상시적 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21세기에 본격화한 가상악기의 등장은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환경의 변화였다. 악기의 디지털화는 비교적 오래된 일이다.
하지만 가상악기의 등장으로 인해 2차적인 디지털 환경이 도래했다. 악기의 물질성이 소멸하면서 연주의 영역에 커다란 변화가 야기되었다. 이는 창작자 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전까지 녹음실에서의 연주는 장인적 역량을 요구하는 부문이었다. 그러나 가상악기의 등장 이후로는 장인적 역량이 없는 이들에게도 연주의 기회가 주어졌다. 비유하자면 귀명창들이 소리꾼 자리를 넘보게 된 것인데, 단순히 가능성의 차원에 머문 것이 결코 아니었다. 가상악 기의 성장은 고독하게 살아가던 음악 창작자들의 공간을 더욱 고독하게 만들었다. 창작자들은 스튜디오에서 연주자들을 만나는 대신 혼자만의 공간에서 모든 것을 소화하려 하고 있다. 가상악기는 근 20년간 혁신을 거듭했고 지금은 음악 저작 도구 시장의 가장 영향력 있는 주인공으로 당당히 자리 잡았다.
짧은 시간이지만 급격한 세대교체를 이루면서 시장에서나 성능에서나 실물악 기를 충분히 능가하는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쉼 없이 성장해 온 가상악기는 고독한 음악 창작 공간을 확장시켜 왔으며 고독한 음악 창작자들은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가상악기의 혁신에 즉각적으로 호응해 왔다. 그리고 양자 간의 호흡은 여전히 격렬하게 교환되고 있다.
영문 초록
Software synthesizer has been innovating for over 20 years and have become a main character in the music authoring tool market. With the advent of software synthesizer, a new digital environment has arrived.
The appearance of software synthesizer was a very important change for the musicians. Physical character extinction of musical instruments caused a great change in the realm of performance. Continuous innovation has been showing us the ability to surpass the real thing.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musicians. With the advent of software synthesizer, those who lacked the ability to play were given opportunities to play. It simply did not stay in the dimension of possibility. Nowadays many musicians are playing many instruments by their own performance in their own space. The musicians quickly responded to the innovation of software synthesizer to improve their musical perfection. Moreover, the breathing between them is still vigorously exchanged. The growth of software synthesizer has made the space of musicians even more solitary and is expanding it without a break.
목차
1. 서문
2. 음악 저작 도구의 변화
3. 가상악기의 시대
4. 창작자들의 대응
5. 고독 공간, 음악의 화수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독한 뮤지션 공간의 탄생: 가상악기 전성시대에 대한 고찰
- 해방 전후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미국의 영향: 미국-서구·일본-제국·민족의 삼각구도 아래서
-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주요 음악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 X-Japan의 록발라드에 관한 악곡 분석: 〈Endless rain〉, 〈Say anything〉, 〈Tears〉를 중심으로
- 협동적 결과물로서의 K-POP 구조 분석: 훅의 증가와 비획일적 배치를 중심으로
- 권두언
- 전국 오월창작가요제의 주제에 관한 일고찰
- 탈구화된 대중-민속음악 교육현장에 관한 비교문화적 재고찰: 감비아, 스웨덴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 2018 한국대중음악학회 제24회 정기학술대회: 기획 섹션 “BTS 신드롬의 현재와 전망” 라운드테이블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서양음악학 제28권 제1호 목차
- ‘남성적’ 소나타로 향한 19세기 여성 작곡가: 파니 멘델스존 헨젤의 경우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95차 추계학술대회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음악제도 및 음악교육” 보고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