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이용수 818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Happiness in Middle and Middle Wome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저자명
- 이종운(Lee, Joung -Un)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상담연구』제3권 제1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중년여성의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여, 중년 여성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450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391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본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행복감의 평균이 116.03이며 표준편차가 16.77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과 사회적 지지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정(+)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에서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애주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년 여성에게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심리사회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변인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자신을 가치 있고 중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삶의 의미를 재발견함으로써 개인의 행복한 삶과 질을 향상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euphoria in middle-aged women by verifying what factors are related to the subjective euphoria of middle-aged women for better living. This study collected a significant number of 450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May to June 2017 and utilized Part 391 for data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happiness of the study subjects was 116.03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16.77. Subjective euphoria and social support of the study subjects are generally seen as high.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be at an average level. It can be seen that middle-aged women s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euphoria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nd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l effect of self-respec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respect, which are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to promote a sense of happiness for middle-aged women who a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ir life cycle, and to develop and support programs using these transformations.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one can recognize oneself as a valuable and important being, and improve one s happy life and quality by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