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정책 및 교육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변이와 변화
이용수 1,270
- 영문명
- ”Analysis on the Variation and Change of Korean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이정복(Lee, Jeongbok)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27권 3호, 131~179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through some phenomena of variation and change in Korean language, and to show how they should go in the future. Since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tatus of language, in Chapter 2 we outline the current status and situation of Korean. In Chapter 3, we examine some of the variations and changes in Korean language, which are highly interesting from a soci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n Chapter 4, we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policy and education as ‘rich and just Korean’.
So far, the key direction of policy and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window-dressing language policy’ and ‘window-dressing language education’. They have attempted to refine Korean by simplifying and abstracting the various language facts and disregarding of the elements that seemed not to be beautiful. The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caught up in the ‘beautiful Korean’ obsession have lasted for decades in Korean.
Now Korean speakers should be liberated from ‘beautiful and pure Korean’ ideology.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local dialects, North Korean words, slang and buzzwords, and net languages. We need to accept new concepts through contact with other languages. With its diversity, richness, and political correctness, Korean will be able to keep its place firmly in the strong waves of English and grow into an important language of the world.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의 지위와 상황
3. 사회적 관심이 높거나 주목할 필요가 있는 변이와 변화
4. 한국어 정책과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nguistic Practices and Resources as Components in the Construction of Sociolinguistic Identity
- 언어 정책 및 교육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변이와 변화
- 인공지능 서비스 광고 특성과 이데올로기
- 가정, 학교, 직장 상황에서 청자의 지위와 유대감에 따른 경어법 형식 사용의 차이
- 언어와 이데올로기 연구의 쟁점과 접근 방식
- Portrayals of Gender Roles in Everybody Loves Raymond
- 학문외과, 항운외과 ?
- ‘자기’ 의 용법 확대와 언어변화 개신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인터넷 뉴스 댓글에서의 욕설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