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 ODA와 평화의 관계: 패널 2SLS 분석을 이용하여

이용수  479

영문명
The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emocracy Aid to Promote Peace in Sub-Saharan Africa: 2SLS Analysis using Panel Data
발행기관
국제개발협력학회
저자명
박종남(Chongnam Park) 김수진(Sujin Kim)
간행물 정보
『국제개발협력연구』 제11권 제3호, 61~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라하이남 국가에서 민주주의 ODA와 평화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민주화에 따른 ODA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분석하 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기존의 ODA와 평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단일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민주화에 따른 ODA와 평화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민주주의 ODA와 평화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하여, 도구변수를 이용한 2단계 최소제곱법(2SLS)을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1996년 부터 2016년까지의 사하라이남 지역 30개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OLS 분석 결과 민주주의 ODA는 평화 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2SLS 분석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졌다. 둘째, 민주화 수준은 ODA의 분쟁 감소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사하라이남 국가들에서 민주주의 ODA는 정부, 시민사회, 선거제도 등을 강화하여 평화 유지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서처럼, 민주화가 진행될수록 ODA의 효과는 커진다는 점에서 평화 유지를 위한 민주주의 ODA 사업은 민주주의의 행위자인 시민과 그 시민의 움직 임에 대한 지침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cy aid (democracy ODA) and peace in Southern Saharan countries. Originality: Even though there are a number of study cases analyzing the relation of ODA to the pea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as a first attempt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ODA in Sub-Saharan Africa by using democratization indicators. Methodology: This study mainly conducts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by using instrumental variable regression approach. For this, panel data set from 1996 to 2016 is used and ‘two stage least squares (2SLS) method is employed due to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in aid allocation. Results: The OLS regression approach-based research shows two meaningful results that in the case of the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1) inflow of foreign aid has a positive effects to decrease the risk of conflicts and (2) democratization can enhance the role of foreign aid to promote peac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sub-Saharan countries, democracy aid (democracy ODA) has contributed positively to peace-keeping by strengtheni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electoral system. And the democratization is moderating on ODA effect on peace-keeping. This study concludes that democracy assistance program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peace-build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남(Chongnam Park),김수진(Sujin Kim). (2019).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 ODA와 평화의 관계: 패널 2SLS 분석을 이용하여. 국제개발협력연구, 11 (3), 61-78

MLA

박종남(Chongnam Park),김수진(Sujin Kim).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 ODA와 평화의 관계: 패널 2SLS 분석을 이용하여." 국제개발협력연구, 11.3(2019): 6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